국제 정치·사회

인도, 내달 2일 파리기후협정 비준 예정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남부 케랄라에서 열린 인도국민당 회의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모디 총리 홈페이지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남부 케랄라에서 열린 인도국민당 회의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모디 총리 홈페이지


세계 전체 온실 가스 배출량의 4.5%를 차지하는 인도가 파리기후협정 비준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인도 NDTV 등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2015년 파리기후협정이 곧 비준 될 것이라 밝혔다고 보도했다.


모디 총리는 25일 남부 케랄라에서 열린 집권 인도국민당(BJP) 회의에서 다음 달 2일 파리기후변화협정을 비준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디 총리는 “탄소 감축에 노력해 온 인도의 독립지도자 간디의 삶을 기리는 의미로 그의 생일을 비준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인도는 지난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협정 채택에 주도적 역할을 했지만, 이후 협정 비준에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기에 갑작스러운 비준 발표는 의외라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관련기사



이로써 인도는 브릭스(BRICS) 국가 중 중국과 브라질과 함께 비준한 국가가 될 예정이다. 한편 나머지 브릭스 국가 남아프라카 공화국과 러시아는 소극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어 비준이 불투명 한 상태이다.

2015년 12월 196개국이 파리에서 열린 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파리협정을 체결했다.2015년 12월 196개국이 파리에서 열린 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파리협정을 체결했다.


파리기후협정은 지난 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195개국이 산업화로 인한 지구 평균온도가 2°C 이상 오르지 않도록 온실가스감축을 목표로 한 협정이다.

선진국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있었던 1997년 교토의정서와 달리 파리기후협정은 개도국까지 지켜야 하는 합의로 온실가스 감축에 전 세계가 동참한다. 본 협정은 2020년 이후부터 적용되며 개도국은 1,000억 달러(한화= 약 110조원)을 지원받게 되며 모든 국가는 2023년부터 5년마다 탄소감축상황을 보고해야 한다.

지금까지 이 협정을 비준한 회원국은 60개국으로 협정 발효를 위한 최소 충족요건인 55개국을 넘어섰다.

하지만 비준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55% 이상에 이르러야 하는데 아직 47.5%로 7.5% 부족했기에 협정이 발효하지 못했으나 인도의 배출량이 세계 전체의 4.5%이기에 인도가 비준하고 나면 연내 발효는 무난히 이뤄질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신은동인턴기자 shined0226@sedaily.com

신은동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