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철도·지하철 파업... 시민의 발 묶이나

정부 "불법파업 엄정 대처"

정부의 성과연봉제 도입 등에 반대하는 철도와 지하철 등 공공운수노조 15개 노조 6만3,000여명이 연대파업에 돌입했다.


철도와 지하철노조가 공동파업에 나서 것은 22년 만으로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시민 불편과 물류대란이 우려된다.

관련기사



전국철도노조와 서울메트로노조·부산지하철노조 등은 27일부터 연대파업을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정부가 추진하는 성과연봉제 도입 등에 반대해 양대 노총 공공 부문 노조 공동대책위원회가 벌이는 파업에 동참하는 것이다. 당장 서울지하철 1~8호선 운행 차질이 예상되며 부산지하철도 마찬가지다. 우선 코레일은 파업 대비 수송대책을 수립해 철도 이용객의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다만 화물열차는 평소 30%, 새마을 등 일반열차는 60%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서울시도 비상대책을 수립했다. 시는 대책 인력을 총동원해 출근시간대 전동차를 평소 수준으로 유지하는 대신 비교적 이용객이 적은 낮 시간대에 지하철 운행을 평소의 80∼85%로 줄이기로 했다. 대체수단으로 시내버스 막차 시간을 1시간 늦추고 버스와 개인택시도 추가 투입한다. 무엇보다 정부가 이번 파업을 불법 기획파업으로 규정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엄중히 대처한다는 입장을 밝혀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비상수송대책본부를 방문해 “최근 한진해운 사태 등으로 경제가 어렵고 경주에서 발생한 사상 초유의 강진과 북한 핵실험 등으로 국민의 불안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불법적 파업을 예고한 점이 안타깝다”며 “노조가 파업에 나서는 것은 어떤 명분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파업 철회를 강도 높게 요구했다. /세종=박홍용기자 최성욱기자 prodigy@sedaily.com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