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40년 서울, 인구 900만으로 감소·50대가 젊은이 취급

2040년 서울이 인구 900만명대 도시가 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서울연구원 글로벌미래연구센터장은 27일 서울 시청에서 ‘서울의 미래, 서울의 선택’을 주제로 열리는 세미나 발제문에서 1인 가구나 부부만 사는 가구가 다수 찰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분석에 따르면 2040년 서울은 저출산과 탈서울에 속도가 붙으면서 인구가 916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또한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현재 750만명에서 545만명으로 대폭 줄어들고, 소비주도층인 45~49세 인구도 80만명에서 64만2000명으로 감소한다.

관련기사



특히 2040년에는 서울의 전체 410만 가구 중 1인 가구가 30%, 부부 가구는 32%로 1~2인 가구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가임여성(20∼39세)은 현재 150만명에서 96만명 수준으로 급감한다.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중위연령은 52세가 된다.

중위연령은 모든 인구를 줄 세웠을 때 가운데 선 사람의 나이로, 24년 뒤에는 50대가 젊은이 취급을 받게 되는 셈이다. 중위연령은 총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할 때 중간에 위치하는 나이대로 2013년 39세였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