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허리 숙이지 않고 편하게" KT 장애인 맞춤 스마트팜

KT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경기도 남양주 서울시립 장애인 영농직업 재활시설에 장애인 맞춤형 스마트팜을 구축했다고 27일 밝혔다.   비닐하우스 내외부 센서를 통해 온도, 습도를 감지하고 작업시 스마트폰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행잉배드’를 설치했다. 사진은 KT IT서포터즈 등 관계자들이 경기도 남양주 서울시립 장애인 영농직업 재활시설에서 장애인 맞춤형 스마트팜에 대해 설명을 듣고 체험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KTKT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경기도 남양주 서울시립 장애인 영농직업 재활시설에 장애인 맞춤형 스마트팜을 구축했다고 27일 밝혔다. 비닐하우스 내외부 센서를 통해 온도, 습도를 감지하고 작업시 스마트폰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행잉배드’를 설치했다. 사진은 KT IT서포터즈 등 관계자들이 경기도 남양주 서울시립 장애인 영농직업 재활시설에서 장애인 맞춤형 스마트팜에 대해 설명을 듣고 체험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KT




KT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경기도 남양주 서울시립 장애인 영농직업 재활시설에 장애인 맞춤형 스마트팜을 구축했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들을 위한 맞춤형 비닐하우스 장비를 도입했다. 일반적인 농가에서는 비닐하우스 내 토지에 작물을 재배하지만, 장애인 맞춤형 스마트팜은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을 고려해 허리 높이의 ‘고설배드’를 설치해 발달장애 및 지체장애인들도 쉽게 일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 단단한 재질의 바닥재를 스마트팜 전체에 깔아 휠체어나 목발을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접근이 쉽도록 했고, 작업 시 스위치나 스마트폰 조작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행잉배드’를 천정에 설치해 장애인들의 이동과 작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구축된 장애인 맞춤형 스마트팜은 지역 장애인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외부 활동이 쉽지 않은 장애인들이 농장 체험을 할 수 있는 농업 체험 학습장으로 이용될 예정이다. 이곳에서 생산된 허브는 추후 요리연구가 에드워드 권을 통해 수매된다.

장애인 스마트팜이 설치된 ‘3프로농장’ 원장 김송석 씨는 “발달 장애인들이 흙을 만지고 땀을 흘리며 농사를 지으며 정서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며 “이번 장애인 맞춤형 스마트팜을 통해 장애인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활동이 가능해져 장애인 재활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선주 KT 지속가능경영센터 상무는 “전국 최초로 구축된 이번 장애인 맞춤형 스마트팜은 장애인분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요소들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이번 시설을 통해 장애인들의 경제적 자립 및 재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