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명연 "국립의료원, 3년간 정원 절반 퇴사…비정규직 급증"

2013~2015년 474명 퇴직

비정규직은 65% 급증

"안정적 의료서비스 대책 마련해야"

김명연 새누리당 의원 /연합뉴스김명연 새누리당 의원 /연합뉴스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기관인 국립중앙의료원의 퇴사율이 전체 정원의 절반을 넘고 비정규직 비율도 급증해 공공의료서비스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명연(새누리당) 의원이 29일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3년간 전체 정원의 57%에 달하는 474명이 퇴직했다.


같은 기간 비정규직은 65%나 늘었다. 지난해 기준 국립의료원의 의사 12.1%, 약사 39.1%, 간호사 10.4%가 퇴직하며 원활한 의료원 운영에 심각한 차질을 빚고 있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관련기사



특히 2013년 115명이던 비정규직 수는 올 상반기에 190명으로 증가했다. 간접고용(용역업체) 인원인 248명까지 합하면 국립의료원의 비정규직 비율은 정부의 공공기관 비정규직 기준인 5%의 7배에 달하는 34%이다.

김명연 의원은 “전문인력이 떠나지 않을 유인책을 만들고 비정규직 비율을 낮추는 등 안정적인 공공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전공의협회의 2015년도 전공의 급여조사에 따르면, 국립의료원 내과 전공의의 연봉은 4천170만원으로 서울삼성병원(5천852만원)과 서울아산병원(5천709만원)의 7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