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상사, 인도네시아서 대형 석탄광산 개발 성공

가채매장량 2.2억톤 규모 대형 광산 준공식

내년 1월부터 상업생산 돌입해 연간 최대 1,400백만톤 생산

송치호(오른쪽에서 두번째) LG상사 대표가 인도네시아 GAM 광산의 시험생산 가동을 위해 광산의 생산설비를 조작하는 제어 장치를 누르고 있다. LG상사는 내년 1월부터 연간 300만톤 규모로 상업상생을 시작해 향후 최대 1,400만톤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사진제공=LG상사송치호(오른쪽에서 두번째) LG상사 대표가 인도네시아 GAM 광산의 시험생산 가동을 위해 광산의 생산설비를 조작하는 제어 장치를 누르고 있다. LG상사는 내년 1월부터 연간 300만톤 규모로 상업상생을 시작해 향후 최대 1,400만톤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사진제공=LG상사




LG상사가 4년 간의 노력 끝에 인도네시아서 대형 석탄 광산 개발에 성공했다.


LG상사는 인도네시아 동부 칼리만탄주에 위치한 GAM(감) 광산에서 준공식을 가졌다고 29일 밝혔다. 이 행사에는 송치호 대표를 비롯한 LG상사 임직원들과 인도네시아 협력업체 대표 등 40여 명이 참석해 성공적으로 시험생산을 개시한 것을 기념했다.

GAM 광산은 여의도 면적(2.9㎢)의 36배에 달하는 106㎢에 걸쳐있는 노천광산으로 가채매장량 2억2,000만톤 규모의 대형 광산이다. 이달부터 올해 말까지 시험생산을 거친 뒤 내년 1월부터 연간 300만톤 규모로 상업생산을 시작한다. 향후 점진적으로 생산량을 끌어올려 최대 1,400만톤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LG상사는 GAM 광산에서 생산한 석탄 전량에 대한 판권을 확보하고 있어 이를 인도·중국 등 아시아 지역 주요 수요처에 공급한다.


특히 동남아시아 주요 신흥국들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력 수요 역시 크게 늘어나고 있다. 반면에 전력 인프라는 매우 열악한 실정으로 원가 경쟁력이 뛰어난 석탄 발전 설비에 대한 사용 확대가 예상된다.

관련기사



GAM 광산은 물류 경쟁력 또한 확보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다른 광산들의 경우 외항까지의 운송 거리가 약 100~300㎞인 데 비해 GAM 광산은 60㎞로 지리적 입지가 뛰어나 원가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LG상사는 GAM 광산 개발 성공으로 기존 MPP 광산에 이어 인도네시아에서만 2개의 석탄광산 개발에 성공하며 인도네시아 내 메이저 석탄 공급자로 도약하고 있다. MPP 광산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경험이 이번 GAM 광산 개발 성공의 밑바탕이 됐다. MPP 광산은 지난 2007년 LG상사가 인수한 광산으로, 국내 종합상사가 참여한 해외광산 중 탐사단계부터 참여해 개발 및 생산에 성공한 최초의 사례다. 현재 연간 300만톤 규모로 생산하고 있으며 조직 및 인원, 장비뿐 만 아니라 도로 및 항만 등 물류 인프라 역시 갖추고 있다.

인도네시아 동부 칼리만탄주에 위치한 LG상사의 GAM 광산 위치도 /사진제공=LG상사인도네시아 동부 칼리만탄주에 위치한 LG상사의 GAM 광산 위치도 /사진제공=LG상사


LG상사는 지난 2012년 GAM 광산의 지분 60%를 인수하고 운영권을 확보했다. 이후 4년 여의 노력 끝에 토지보상, 인허가, 생산 및 물류 인프라 건설에 이르는 개발과정의 어려움들을 극복해 가며 이번 결실을 거뒀다.

인도네시아 특유의 토지보상 특수성, 광권과 산림권이 중첩되는 등 인허가 문제로 한 때 개발에 난항을 겪었지만 현지 정부 담당기관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의를 통해 이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었다. 주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의 적극적인 지원 역시 큰 힘이 됐다.

LG상사 관계자는 “GAM 광산과 MPP 광산을 인도네시아 석탄사업의 주요 생산거점으로 활용해 오는 2020년까지 인도네시아산 석탄 취급물량을 확대하고 아시아 메이저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아시아 지역 신흥국들의 부족한 전력공급 상황을 개선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