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항만 물류 경쟁력 강화…2020년까지 14조7천억 투입

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 확정·고시

부산신항에 정박한 컨테이너선박 전경 사진. /서울경제DB부산신항에 정박한 컨테이너선박 전경 사진. /서울경제DB


한진해운 법정관리와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 무역 침체로 세계 주요 항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정부가 국내 항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15조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물류 경쟁력 개선과 항만 공간을 활용해 고부가가치 산업이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투자에 집중할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의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16∼2020년)을 확정·고시한다고 밝혔다.항만기본계획은 항만법에 따라 해수부장관이 수립하는 항만 관련 최상위 국가계획이다. 계획에는 전국 30개 무역항과 29개 연안항의 중장기 육성 방향과 항만별 개발계획 등이 포함된다. 수정계획 이행을 위해 약 14조7,00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가 재정 7조4,000천억원에 더해 7조3,000억원은 민간 투자로 충당할 방침이다. 해수부는 2011년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2011!2020년)을 수립했지만 급변하는 해운·항만 여건을 반영하고자 2014년부터 수정계획을 준비해왔다.

정부는 우선 항만별 특성에 맞춰 국제경쟁력과 물류기능을 강화한다. 부산항을 세계 2대 컨테이너 환적 허브로 만들고 광양항은 국내 최대 산업클러스터 항만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인천항은 수도권 종합물류 관문으로, 울산항은 동북아 액체 물류중심 항만으로 특화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부산항은 신항 2단계 사업을 2020년까지 마무리한 뒤 3단계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컨테이너 전용부두 확충(21선석→37선석), 수리조선·LNG벙커링 등 고부가가치 항만서비스 도입 등이 골자다. 또 컨테이너부두를 포함한 화물부두 140선석과 도로 72.2㎞, 철도 29.1㎞의 배후교통망이 확대된다.


항만배후단지에는 상업·주거·문화 등 도시기능을 도입해 부가가치를 높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등 4개 항만에 2종 항만배후단지 375만㎡를 공급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여의도 면적의 4배(1천141만㎡)에 달하는 준설토 매립지는 지역 특성에 맞춰 해양관광레저(인천 영종도), 에너지·신산업(광양 묘토·3투기장) 등 다양한 산업기능을 도입한다. 부산 북항과 인천내항, 동해·묵호항 등 노후하거나 유휴화된 항만시설은 재개발을 추진한다.

정부는 또 크루즈 산업 육성을 위해 제주신항, 부산항, 인천항, 속초항 등 전국 9개 항만(16선석)에 크루즈 부두를 조성할 계획이다. 섬 관광을 활성화 차원에서 노후화된 여객부두와 여객터미널 23개소를 정비하고 수산물 유통기능 강화를 위한 소형선부두도 17개항에 공급한다. 정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파고 증가에 대비해 방파제 71개소를 보강하고 방재시설 25개소를 구축한다. 항만시설 125개소에 대한 내진 보강에도 나서기로 했다. 해양영토 끝단의 11개 주요 거점 도서에는 부두시설을 확충해 중국불법어업 단속을 위한 기지로 활용한다.

이번 수정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국내 전체 화물부두 140선석, 여객부두 49선석을 확충하면 우리 항만의 화물 처리 능력은 현재 11억톤에서 14억톤으로 향상될 전망이다./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