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한미약품, 항암신약 기술수출로 1조원 규모의 '잭팟'

한미약품이 또 다시 ‘잭팟’을 터뜨렸다. 지난해 신약 후보물질 기술 수출을 통해 8조원의 로열티 등을 받기로 한데 이어 이번에는 1조원 규모의 항암신약 기술수출 계약을 맺으며 국내 바이오 업계의 중심에 섰다.

한미약품은 스위스 제약사 로슈의 자회사인 제넨텍과 자체 개발 표적 항암신약인 ‘HM95573’의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로써 제넨텍은 한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HM95573의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독점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한미약품은 제넨텍으로부터 확정 계약금 8,000만 달러 외에 임상개발 및 허가, 상업화 등에 따른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으로 8억3,000만달러를 순차적으로 받는다. 총 계약규모는 9억1,000만달러로 대략 1조원 규모다. HM95573은 세포 내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RAF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신약이다. RAF는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미약품은 HM95573의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며 전임상단계에서 보건복지부로부터 약 6억원을 지원 받기도 했다.


한미약품은 항암신약 개발이 최종 성공해 상용화될 경우 판매에 따른 로열티도 받을 예정이며 이번 계약의 전체 계약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관순 한미약품 대표는 “항암제 분야에서 축적된 역량을 보유한 로슈의 자회사 제넨텍과 협력하게 돼 기쁘다”며 “제넨텍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HM95573이 암으로 고통받는 전 세계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임스 사브리 제넨텍 부사장은 “두 회사의 파트너십을 통해 혁신적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번 계약은 일정 규모를 초과하는 기술 도입시 요구되는 미국 공정거래법의 승인절차가 적용돼 올 4분기 이내에 최종 승인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한미약품의 기술수출은 임성기 한미사이언스 회장의 뚝심 덕분이라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임 회장은 지난 2000년 이후 지금까지 연구개발(R&D)에만 1조원 이상을 투입하며 국내 제약업계를 선도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