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스마트폰 부품까지…'짝퉁' 4만여점 적발

명품 의류 '라벨 갈이'도







중국에서 가족과 함께 사는 전모(45)씨는 중국에서 국제특급우편(EMS)으로 애플 아이폰과 삼성·LG 등의 스마트폰 액정·배터리 등 가짜 부품을 들여왔다. 세관에 적발되자 친인척 집을 비밀창고 삼아 소량으로 가짜 부품을 배송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수리를 원하는 일반인에게 판매했다.

전씨처럼 가짜 스마트폰 부품을 판매하거나 서울 동대문·명동·이태원 등에서 일명 ‘라벨갈이’로 의류 원산지를 속여 판 업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는 올해 동대문·명동·이태원 등에서 위조상품에 대한 집중 단속을 벌인 결과 총 98건을 적발, 시가 192억원 상당의 물품 4만946건을 압수하고 관련 상표법 위반 사범 121명을 형사입건했다고 29일 밝혔다. 도용 브랜드순으로 보면 루이비통(1만1,842점), 샤넬(5,461점), 애플(4,795점) 순으로 많았다.


시 관계자는 “스마트폰 수리 시 싼 가격과 빠른 수리를 위해 정품이 아닌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가짜 부품은 성능이 떨어질 뿐 아니라 폭발 위험이 있어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동대문 일대에서는 중국산 의류에서 라벨을 제거하고 한국산 라벨을 붙이는 ‘라벨갈이’를 하는 업체 8곳을 적발, 의뢰자·작업자·사업자 등 16명을 입건했다.

시는 또 의류도매시장 등에서 유통되는 원산지표시 위반 의류는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돼 세관을 통관하고 있는데 세관 통관 과정에서 쉽게 라벨갈이를 할 수 있는 의류(‘홀치기’ 제품)로 탈바꿈되는 불법제품에 대해 원천적으로 원산지 세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세관에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서동록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원산지를 속이고 제품을 위조하는 행위는 산업 발전을 해치는 행위이고 한국산 상품의 국제경쟁력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며 “지속적인 단속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