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영화잡담, 동像이몽]'다가오는 것들'... 50대의 파경 이렇게 태연해도 되나



영화 ‘다가오는 것들’은 50대 여성에게 닥쳐오는 ‘이별들’을 관조하게 하는 작품. 고교 철학교사 나탈리(이자벨 위페르)는 아내이자 엄마로 그리고 딸로 50대 여성의 평범한 삶을 산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이 자신의 외도 사실을 알리며, 이제부터는 그 여자와 함께 살겠다고 통보한다. 너무나 충격적인 사실이지만 나탈리는 “그 사실을 그냥 넘어갈 수도 있는데 왜 말하냐”고 약간 짜증을 낼 뿐이다. 남편과의 결별 이후에도 자식을 돌보고 학생들을 가르치고 치매에 걸린 어머니를 돌보는 등 나탈리의 삶에는 변화가 없다. 그녀에게 이별이란 그저 하나의 일상일 뿐이다.

50대의 돌연한 파경에 이처럼 초연할 수 있는 것인가? 30대 미혼 여성인 연승 기자와 기혼 남성인 박성규 기자가 같은 영화를 보고 두 가지 생각을 들려주는 ‘동상이몽(同像二夢)’이다.






연승 기자(이하 연)=“나이가 들면서 가장 두려운 건 혼자 남게 되는 일 같아. 철학교사인 나탈리마저 마흔이 되면 여자로는 끝이라고 하고, 남편도 떠나고, 엄마도 떠나고, 결국 남겨진 건 엄마가 기르던 고양이 한 마리 뿐이야. 그리고 나탈리의 딸은 아빠도 유혹에 약한 한낱 인간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것 같아.”

박성규 기자(이하 박)=“맞아. 딸이 아버지의 외도 사실을 목격하게 되면서 엄마에게 그 사실을 고백하라고 하잖아. 딸의 입장에서는 엄마 아빠의 파경을 바라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보다는 엄마와 같은 여자로서의 배신감이 더 컸던 게 아닐까 싶어.

연=“두 사람이 이별하는 모습도 지나치리만치 태연해. 나탈리는 남편이 집을 떠나고 나서 남은 텅 빈 책장을 보면서,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냈던 별장을 정리하면서 약간 툴툴댈 뿐이잖아. 남편은 집을 떠나면서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부터의 세계’가 안 보이니 찾으면 좀 보내달라는 쪽지를 남기는데, 이 장면은 참 씁쓸하더라고.


박=“사실 프랑스의 놀라운 신예 여성 감독 미아 한센-러브의 작품이고 칸, 베를린, 베니스영화제에서 다섯 번이나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최고의 배우 위페르가 출연해 여성의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지만, 남편과 아들, 즉 남성의 심리를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룬 점은 아쉬웠어.”

관련기사



연=“남자들은 원래 그렇지 않나? 이별에 대한 시그널은 ‘침묵’인 것 같은데, 그런 면에서 난 이별에 대한 남성들의 심리 묘사 생략이 바로 남성들의 ‘리얼 태도’라고 생각했거든.

박=“참, 처음에 혼자 남게 되는 게 두렵다고 했잖아. 그래도 결혼은 꼭 해. 인생에서 해볼만한게 결혼이거든.”

연=“결국 남편이 바람을 피우고 다른 여자랑 살겠다고 하고, 내가 못 찾은 내 책 좀 보내달라는 마지막 쪽지를 남길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결혼을 해?”

박=“그래도 계속 혼자인 것보단 낫지. 결국 혼자가 되는 한이 있더라도 둘이었다가 혼자가 되는 편이 낫지 않아?”

연=“알았어. 기혼자 얘기니 새겨들을게. 만나고, 헤어지고, 헤어지고, 만나고 뭐 다 그런 게 인생일테니. 그러고 보니 영화에서 ‘이별’만 있는건 아니네. 딸이 아기를 낳잖아.”

박=“그래, 삶이 그렇듯 여러 가지가 다 다가오지.”

/연승·박성규기자 yeonvic@sedaily.com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