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파업·구조조정·수출부진 3중고...제조업 고용비중 3년래 최저

8월 전체 취업자의 16.7%에 불과...고용시장 질 저하 우려





자동차 파업, 조선업 구조조정, 수출 부진 등 3중고가 겹치며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종사자 비중이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음식 및 숙박업에 비해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된다. 그 만큼 우리 고용시장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뜻이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제조업 취업자는 441만 8,000명으로 전체 취업자(2,652만 8,000명) 중 16.7%를 차지했다. 이는 2013년 10월(16.5%) 이후 2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금융위기 여파가 한창이던 2009년 8월 15.9%로 역대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반등해 16~17%대를 나타냈다. 올해 1~2월까지만 해도 17.9%를 기록했지만 다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관련기사



현대차 제조공장이 있고 조선업이 몰린 울산과 경남의 상황이 안 좋았다. 울산의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8월 현재 35.4%였다. 2013년 8월 35.2% 이후 가장 낮다. 경남은 24.4%로 7월(23.6%)보다 소폭 상승했다. 다만 7월 수치가 2008년 4월(23.4%) 이후 최저였다.

박진희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팀장은 “제조업은 경제 둔화 심화와 중국의 추격, 생산기지 해외 이전 등으로 2015년 이후부터 상용 근로자를 줄이고 임시·일용 근로자를 늘리는 방식으로 취업자 수를 늘렸다”며 “이제까지는 임시·일용 근로자 증가세가 제조업 일자리 충격을 줄이는 완충 작용을 했지만 제조업 가동률 하락, 수출 부진 심화, 구조조정 본격화로 감소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체 경기가 좋지 않음에도 증가해왔다. 이에 시장에서는 ‘제조업 고용 미스터리’라는 말까지 나왔다. 하지만 이는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늘어난 덕분이란 이야기다. 결국 이들이 대량 실업에 처하면서 제조업 고용시장에는 한파가 불 것으로 우려된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