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파업에...제조업 가동률 곤두박질

8월 70%로 7년5개월래 최저

소비·투자는 기저효과로 소폭 반등

0115A01 제조업 평균가동률 추이0115A01 제조업 평균가동률 추이


현대자동차 파업 등의 여파로 지난 8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7년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자동차 생산 부진으로 5~6월 반짝 반등했다가 7월 보합세를 보였던 전체 산업생산 역시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여파까지 겹쳐 9월 이후 전망도 밝지 않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제조업 가동률은 전월보다 3.4% 하락한 70.4%를 기록했다. 2009년 3월 69.9%를 기록한 후 7년5개월 만의 최저치다. 이 같은 지표하락에는 자동차 파업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김광섭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차 파업으로 인한 6만6,000대의 생산차질이 없었다면 제조업 가동률은 72.1%가 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8월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4월에 0.7% 줄어든 산업생산은 5월 0%, 6월 0.6% 늘며 반등에 성공했다. 하지만 7월에는 늘거나 줄지 않은 데 이어 8월 다시 마이너스로 고꾸라졌다. 광공업 생산은 자동차·반도체 등이 각각 전월보다 17.7%, 5.2% 감소했고 1차금속(3.2%), 식료품(3.7%) 등이 증가했다. 서비스업 부문은 운수(-1.1%) 등이 감소했지만 전문·과학·기술(6.1%), 도소매(0.7%) 등이 증가해 전월보다 0.7% 늘어났다.


소비와 투자는 소폭 반등했다. 소매판매는 의복 등 준내구재(-1.2%) 판매가 줄었지만 가전제품 등 내구재(4.7%),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8%) 등의 판매가 늘어 전월보다 2.0% 증가했다. 폭염으로 인한 냉방용 가전기기 판매 증가,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중단으로 10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7월 차량 소비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반등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설비투자는 기계류(15.3%), 운송장비(11.0%) 투자가 모두 늘어 전월보다 14.0% 증가했다. 반도체제조용 기계 투자가 늘어난데다 일부 기저효과도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건설수주는 주택, 사무실·점포 등 건축(30.9%) 및 도로·교량, 기계설치 등 토목(200.7%)이 모두 늘면서 1년 전보다 54.6% 증가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순환변동치는 광공업생산지수 감소에도 서비스업생산지수, 비농림어업취업자 수 등이 증가해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순환변동치는 소비자기대지수·건설수주액 증가 등으로 전월보다 0.3포인트 올라갔다.

김광섭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미국 금리 인상 우려, 구조조정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돼 있다”며 “자동차 파업 장기화, 삼성 갤럭시노트7 리콜, 김영란법 시행의 영향으로 생산과 소비 등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