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철강·유화 고부가제품 개발" R&D자금 1조3,000억 투입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중국 등 후발주자에 쫓기는

범용제품 비중 단계적 축소

고기능·친환경제품으로 승부



정부가 1조3,0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해 철강과 석유화학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리기로 했다. 중국 등 후발주자에 시장을 내주고 있는 범용제품의 비중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고부가 제품을 늘리기 위해서다.

정부는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확정했다. 유 경제부총리는 “철강·석유화학 경쟁력 강화 방안은 향후 5~10년을 내다보는 중장기 비전과 대책을 제시했다”면서 “철강은 고부가 철강·경량소재 강국으로, 석유화학은 글로벌 첨단화학 강국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안의 핵심은 △공급과잉 설비 감축 △고부가제품 개발 등으로 요약된다. 최근 최대 시장인 중국이 자국 철강과 유화제품을 쏟아내며 제품이 남아도는 상황. 때문에 원가경쟁력이 떨어지는 설비는 줄이고 후발주자가 따라오지 못할 고기능·친환경 제품을 만드는 산업으로 환골탈태를 지원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정부는 조선산업 침체로 수요가 줄고 있는 후판의 설비 감축을 유도한다. 철근과 형강도 설비용량을 조정하고 강관과 판재류는 업체 간 우수 설비 등을 인수합병(M&A)하게 지원할 방침이다. 범용 설비를 줄이는 대신 정부는 3대 고부가철강재(미래차·에너지·건설)와 3대 경량소재(타이타늄·마그네슘·알루미늄)를 개발하도록 약 1조원 규모의 자금 지원에 나선다.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품질 관리와 생산효율을 높이는 스마트제철소도 확산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유화도 중국발(發) 공급과잉이 심각한 테레프탈산(TPA)과 폴리스티렌(PS) 설비를 감축하기로 했다. 정부와 민간업체들은 설비 감축 규모 등에 대한 상당한 공감을 이룬 상태라 내년 상반기 내로 설비 조정은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합성고무와 폴리염화비닐(PVC)은 증설 없이 고부가 제품 생산설비로 전환을 유도한다. 원가경쟁력 유지를 위해 액화석유가스(LPG)에 대한 면세혜택, 납사 제조용 원유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도 지속하기로 했다.

유화도 고부가제품 개발에 3,000억원을 지원한다. 전기차와 항공기·드론에 이용되는 경량소재와 극한환경용 특수소재를 개발해 중국 등 후발주자들이 따라오지 못하는 영역으로 산업을 업그레이드하겠다는 취지다.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염료 등도 국산화하기로 했다. 수출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중국과 가까운 대산 지역을 첨단화학 특화산업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대덕 인근에 집중된 국내 화학연구소들과 연계해 ‘케미칼 밸리(Chemical Valley)’를 만들고 입주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내년부터 R&D·인력·설비에 대한 현금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도경환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후발국가들의 추격으로 경쟁력이 줄고 있다”며 “저유가 등으로 수익을 내는 지금 시점에 선제적으로 사업들을 재편하기로 업계와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