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분실물 70% 주인 찾았다"...정부칸막이 허무니 회수율 '껑충'

경찰청 'Lost 112' 회수율 70%...작년보다 7.8%P 증가

접속건수도 8개월간 1,400만건 넘어...정부3.0 효과 커

행자부 "기관간 벽 허문 결과...모든 유실물 취급업체 확대"

올들어 유실물센터에 신고된 물건 10건 가운데 7건은 주인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민간과 공공기관의 유실물 관리를 통합하면서 회수율이 크게 높아졌다.

행정자치부와 경찰청은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서 각자 관리하던 유실물 정보를 하나로 합친 ‘Lost112’ 시스템을 가동한 결과 올들어 지난 8월까지 유실물 반환율이 70.2%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동안 접수된 유실물은 49만4,972건으로 이 가운데 34만7,507건이 주인에게 되돌아 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반환율(62.4%) 보다 크게 높았다.

이는 정부 3.0 확대 차원에서 민간과 공공기관의 유실물관리 시스템을 통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유실물접수도 지난해의 경우 37만7,642건에 그쳤으나 올해는 통합시스템으로 건수가 크게 늘었다.


유실물통합관리 시스템인 ‘Lost112’에 접속한 건수도 올 들어 8개월 동안 1,400만건을 넘어서 지난해 전체(650만건) 보다 크게 늘었다.

관련기사



현재 이 시스템에는 전국의 74개 업체 및 기관 1,680개소가 유실물 정보를 공유, 관리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쇼핑몰이나 놀이동산과 같은 민간시설의 관리자는 습득한 물건을 자체적으로 보관하고 있다가 통상 7일 이내에 경찰관서에 제출하기 때문에, 국민들은 물건을 어디에서 잃어버렸는지 알 수 없어 여러 시설을 일일이 확인하거나, 분실물 정보가 경찰 시스템에 입력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불편을 겪어 왔다.

하지만 올해부터 ‘Lost112’ 시스템이 개통되면서 민간업체, 공공기관을 불문하고 기관간 칸막이를 제거해 모든 시설 관리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함으로써 해당 관리자가 직접 경찰청 시스템에 유실물 정보를 입력한 결과 회수율이 높아졌다.

한편 분실물 습득 장소를 보면 서울하철이 3만6,28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공항이 3만2,899건, 철도 1,875건, 고속버스터미널 1,138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실물 종류는 지갑, 휴대폰, 신용카드, 현금 순으로 많았다. 현재 접수된 분실물의 경우 3개월간 동안 주인을 찾지 못하면 국가로 소유권이 귀속돼 처분된다.

전성태 행정자치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 ‘Lost112’는 기관 간 벽을 허물고 협업하면대국민 서비스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우수 사례”라고 말했다. 경찰청은 앞으로, 모든 국민들이 물건을 잃어버린 즉시 경찰 사이트를 통해 유실물을 검색할 수 있도록 전국의 모든 유실물 취급업체와 기관을 대상으로 참여기관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