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무협 "中서 외국산 브랜드 설자리 없어"

첨단제품군서도 내수시장 장악

값싸고 질 낮은 제품의 대명사였던 중국산이 휴대전화·TV·드론·전기차 등 첨단 분야에서도 자국 내수시장을 장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는 4일 내놓은 ‘중국 내 첨단제품 시장에서 중국 굴기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첨단제품군에는 외국 제품 일색이었지만 최근에는 중국 브랜드가 내수시장을 과점하는 단계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휴대전화와 평판TV가 대표적인 분야로 꼽힌다. 휴대전화는 올해 상반기 중국 시장에서 로컬브랜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88.9%에 달했다. 지난 2007년 48.0%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성장한 셈이다. 중국산 평판TV도 올해 상반기 내수시장 점유율 85.0%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소비층이 확대중인 일반 승용차 분야에서도 중국산은 올해 상반기 점유율 42.9%를 기록, 조만간 50%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역협회는 유망산업으로 꼽히는 전기차 등 신에너지 승용차 시장에서는 중국산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상반기 총 12만대 신에너지 승용차가 중국시장에서 판매됐는데 97%가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업체 비야디는 지난해 6만2,000대의 신에너지 승용차를 팔아 닛산이나 테슬라 같은 글로벌 업체를 제치고 판매량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외국산이 싹쓸이했던 로봇 분야에서도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중국로봇산업연맹은 지난해 기준으로 중국 시장에서 총 6만8,459대의 산업용 로봇이 판매됐으며 이 가운데 로컬브랜드의 비중은 32.5%라고 밝혔다.

중국산 브랜드가 선전하면서 중국 수출의 절반 이상을 이끌었던 외국인 투자기업의 비중도 떨어지고 있다. 외자 기업은 2010년 중국 수출액 가운데 54.6%를 차지했지만 2015년에는 44.2%로 크게 하락했다.

최용민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장은 “원가경쟁력이 있는 중국 브랜드가 품질과 기술경쟁력까지 갖추면서 첨단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며 “우리 기업은 마케팅 네트워크 공유 등을 통해 중국 기업과의 협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전략을 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