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中 이어 러까지 안보리결의 개입…초강력 대북제재 표류 우려

-러 10월 안보리의장국 지위, 상임이사국 거부권 등 이용 가능성

-파워 미 유엔대사 이례적 방한...제재 논의 장기화 가능성 시사하나

중국에 이어 러시아까지 북한 제5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논의에 본격적으로 개입하면서 결의안 채택이 장기 표류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주로 미국과 중국간에 진행되는 안보리 차원의 대북 제재 논의에 초반부터 적극 관여하고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어 논의가 더욱 꼬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러시아는 10월 안보리 순회 의장국을 맡아 논의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안드레이 데니소프 주중 러시아 대사는 지난 4일 “우리는 (대북 제재) 결의안에 직접 이해관계가 걸린 국가들이 어떤 식으로든 결의안 준비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안보리 회원국 모두가 그러한 의견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내가 아는 한 안보리에서 아직 (결의안 도출을 위한) 공동 작업이 아주 잘 진행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미국과 중국 주도로 제재 결의안 초안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초안 작성 단계부터 러시아가 적극 개입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외교가에서는 민생용 석탄, 철광석 등의 수출까지 제한하는 한미 주도의 강도높은 제재에 반대하는 세력에 중국에 이어 러시아까지 가세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러시아가 최근 시리아 문제를 놓고 첨예하게 갈등하고 있는 만큼 대북 제재와 관련한 러시아의 ‘몽니’가 예상을 뛰어넘을 수도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이와 관련, 유엔에서 한창 안보리 결의 논의를 주도해야 할 서맨사 파워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8∼11일 방한하는 것으로 알려져 대북 제재 결의 논의의 장기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