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케이블TV "서비스·기술 통합, IPTV와 맞짱"

비상대책위 '원케이블 전략' 발표

스마트홈·IoT 솔루션도 개발

평창 올림픽 전 디지털 전환 완료

LGU+ M&A땐 일부 이탈 우려도

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케이블 TV업계 비상대책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케이블 업계 임직원들이 위기 극복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일준 티브로드 상무, 이기용 CJ헬로비전 상무, 조석봉 현대HCN 상무, 김정수 케이블TV협회 사무총장, 유영모 CMB 상무, 탁용석 CJ헬로비전 상무/송은석기자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케이블 TV업계 비상대책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케이블 업계 임직원들이 위기 극복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일준 티브로드 상무, 이기용 CJ헬로비전 상무, 조석봉 현대HCN 상무, 김정수 케이블TV협회 사무총장, 유영모 CMB 상무, 탁용석 CJ헬로비전 상무/송은석기자




케이블TV방송사업자(SO)들이 스마트홈 및 사물인터넷(IoT)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2018년 2월까지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을 종료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도 적극 지원한다.


케이블TV 비상대책위원회는 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원케이블 전략’ 방안을 발표했다. 원케이블 전략이란 전국 78개 권역으로 나뉜 케이블TV 업체들이 서비스 및 기술을 통합해 협업함으로써 전국 단위로 사업하는 인터넷TV(IPTV) 사업자와 경쟁한다는 것이다.

지난 7월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의 인수합병(M&A) 무산 직후 구성된 비대위는 오는 11월 스마트홈 및 IoT 관련 솔루션 업체와 제휴를 맺고 서비스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연말에는 케이블 업체가 바뀌어도 이전에 구매한 평생 소장 주문형비디오(VOD)가 이전되도록 할 계획이다. 2017년에는 인터페이스를 통합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미디어센터를 구축한다.

52%에 그친 디지털 전환에 대해서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까지 마무리할 방침이다. 대신 아날로그방송 종료홍보, 세제 혜택 등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지역 채널 공동 브랜드를 출시하고 소상공인을 연결해주는 커머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케이블TV업계는 총 영업이익이 2012년 6,278억원에서 지난해 4,056억원으로 급감한 것은 결합상품을 통한 이통사의 시장 지배력 전이에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통사와 동일한 조건으로 모바일 2회선 이상을 결합해 케이블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해마다 반복되는 지상파 재송신료 분쟁에 대해서는 지상파 방송을 포함한 요금제를 신설해 재송신료 인상시 요금제도 인상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관련기사



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케이블 TV업계 비상대책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배석규 비대위원장 겸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장이 케이블업계 위기 극복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송은석기자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케이블 TV업계 비상대책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배석규 비대위원장 겸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장이 케이블업계 위기 극복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송은석기자


배석규 비대위원장 겸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장은 “케이블TV 활성화는 국내 지역성을 구현할 유일한 매체이고 결합상품 제도개선을 통해 가계 통신비를 인하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LG유플러스가 케이블 방송 M&A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일부 업체는 원케이블 전략에 소극적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최종삼 SO협의회장은 “사업자 모두 이의가 없고 같이 진행할 가치가 충분히 있는 사업만 추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케이블 비대위 ‘원케이블’ 전략 주요 내용

·11월 중 스마트홈 및 IoT 솔루션 업체 제휴
·연말 내 평생 소장 VOD 이전
·2017년 1월 지역채널 통합 브랜드 런칭
·2017년 9월 공통 UI 적용
·2017년 연말 클라우드 구축
·2018년 2월 아날로그 방송 종료
(자료:케이블 비상대책위원회)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