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3분기 실적 '리콜에도 선방'…반도체·디스플레이가 만회(종합)

삼성전자가 3·4분기에 영업이익 7조8,00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7의 전세계 리콜 사태로 조 단위 수익이 날아갔지만 반도체 부문과 디스플레이가 이를 만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올해 3·4분기 잠정 매출액 49조원, 영업이익 7조8,000억원을 거둬들였다고 7일 밝혔다. 이는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증권사 영업이익 전망치 평균(컨센서스, 6일 기준)인 7조4,393억원보다 3,000억원 이상 웃도는 수치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51조6,800억원보다 5.1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55% 늘었다. 삼성전자는 실적 확정치를 이달 말께 발표할 예정이다.


당초 전자업계는 삼성전자가 지난 분기 내놓은 갤노트7의 배터리 폭발 사고 때문에 3·4분기 실적이 ‘어닝 쇼크’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삼성전자가 배터리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고 전 세계에서 갤노트7 제품을 대량 리콜하면서 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 이상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이어졌다.

관련기사



이 같은 악재에도 삼성전자가 시장의 전망보다 수천억원 많은 수익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비자가전(CE) 부문의 선방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 2·4분기에 2조6,400억원, 1,400억원의 영업이익을 각각 냈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은 이번에 각각 5,000억원 이상 이익 폭을 끌어올린 것으로 관측된다. 스마트폰 사업을 맡는 IM 부문에서 30~40% 정도 떨어진 이익 감소분을 반도체,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대부분 만회한 것이다. 특히 D램 시황이 최근 3년 만에 최대치로 오르는 등 시황이 크게 개선된 효과를 톡톡히 본 것으로 추정된다. 디스플레이 역시 LCD 패널 가격 상승에 따라 8,000억원대 흑자가 예상되고 있다.

폭염 및 올림픽 특수 효과를 누린 CE 부문 역시 지난 2·4분기에 이어 3·4분기에도 약 1조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