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생생재테크] 저금리 시대에 눈 여겨 볼만한 상품은

위험 줄인 중위험·중수익 '리자드형 ELS' 관심

내년말까지 비과세혜택 해외주식형펀드도 유망

배종우 KEB하나은행 평창동골드클럽 PB센터장배종우 KEB하나은행 평창동골드클럽 PB센터장





경제상황이 좋지 않으면 세계 각국은 금리를 내리고 돈을 풀어 경기를 활성화하려 한다. 이런 초저금리 시대에는 과거 고금리 때처럼 안전한 상품만 고집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최근에는 정기예금 금리의 2~3배 정도인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주목을 끌고 있다. 대표적인 상품은 주가연계증권(ELS)다. 다만 최근에 높은 주가로 인해 기초자산 가격이 높아져 선뜻 가입하기가 부담스럽다. 이럴 때 적합한 상품이 ‘위험의 꼬리를 자른다’는 의미의 ‘리자드형 ELS’가 있다.


예를 들면 기존 ELS 스텝다운형 상환조건이 90-90-85-85-80-65 스텝다운(지수형)이고 금리 연3.7%라면 여기에 옵션을 부여한 상품이다.

관련기사



기초자산(보통 3종류) 모두가 1차에 90% 이상 안되면 6개월 연장돼 2차로 넘어간다. 이때 기초자산 중에 하나라도 90%미만 60%이상이면 리자드 옵션베리어 60%이 발동돼 연 7.4%로 청산된다.

기존에 판매한 ELS 기초자산인 홍콩H주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ELS가 청산되지 않고 계속 연장이 돼 손님뿐만 아니라 직원도 불안감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하지만 이 리자드형 ELS는 리자드 옵션 행사 시점 1년에 기초자산 60%이상이면 위기를 탈출해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2017년 말까지 1인당 한도 3,0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는 해외주식형 비과세 상품을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 보통 해외펀드는 주식형이든 채권형이든 과세를 하는데 내년 말까지는 해외주식형펀드에 한해서 비과세 혜택이 있다

상품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이중 베트남 펀드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은 TPP(환태평양 경제협력기구) 최대수혜국이며 포스트 차이나라고 할 만큼 경제 성장율도 높은 편이다. 또한 신흥국으로서 변동성이 큰 만큼 적립식으로 가입을 한다면 투자 시점에 관계 없이 평균 매입단가를 낮추는 코스트 에버리징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관련 상품은 한국투자신탁 ‘한국베트남그로스증권자투자신탁’ 와 유리자산운용의 ‘유리베트남알파증권자투자신탁’ 등이 있다.

이외에 경기회복 기대감이 있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고배당주에 투자하는 ‘피델리티 글로벌 배당인컴’과 기술진보 및 기술향상관련 상품과 서비스를 보유하거나 개발할 기업에 투자하는 ‘피델리티 글로벌 테크놀로지’등이 최근 인기가 좋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