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北 추가도발 가능성에 靑 수석 전원출근 '비상체제'

노동당 창건일 하루 앞두고 긴장감

"핵실험·미사일 발사할수도" 분석

朴대통령 北동향 수시 보고받아

북한이 노동당 창건일(10월10일) 전후로 추가 핵실험 또는 탄도미사일 발사를 감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 가운데 청와대는 9일 긴장감 속에 비상체제로 움직였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날 “현재 국정의 최우선 과제는 북핵 위기에 대한 대응”이라면서 “지금이 비상사태라는 인식하에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외교·안보 라인뿐만 아니라 청와대 수석비서관 전원과 대부분의 비서관이 출근해 비상대응체제로 근무했다.

실제로 청와대와 정보 당국은 북한이 6차 핵실험에 필요한 준비를 모두 마쳐 마음만 먹으며 언제든 감행할 수 있는 단계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5차 핵실험이 이뤄졌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의 2번 갱도와 아직 한 번도 핵실험을 하지 않은 3번 갱도 두 곳은 추가 핵실험 준비가 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탄도미사일의 경우는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있는 서해 로켓발사장에서도 최근 들어 활동이 있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로켓엔진시험장 부근에서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은폐용 대형 구조물이 시험용 엔진을 설치하는 건물과 붙어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면서 “엔진시험장에서 모종의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처럼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감에 따라 이날 이원종 비서실장이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도 열린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참모들로부터 북한의 동향에 대해 수시로 보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지난 4일 비공개로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 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이 8일 귀국한 만큼 미국 측과의 협의 결과도 박 대통령에게 보고됐을 것으로 관측된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