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4분기 산업기상도, 자동차-조선 업종은 '겨울비' 심각

4분기 한국 산업기상도는 여전히 ‘흐림’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국발 공급과잉에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까지 겹쳤기 때문.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10여개 업종별 협·단체와 공동으로 ‘4분기 산업기상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보기술(IT)·가전, 정유·유화 업종은 그나마 좋은 편인 ‘구름조금’으로 나타났지만, 철강, 기계, 섬유·의류, 건설은 ‘흐림’으로, 자동차와 조선 업종은 ‘겨울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IT·가전은 메모리반도체 수요증가의 영향으로, 그리고 정유·유화는 적정수준의 저유가가 지속되며 햇살이 들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PC 저장장치 시장을 지배해 온 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낸드플래시메모리 반도체가 탑재된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가 빠르게 대체중이며, 4분기엔 낸드 반도체 판매량이 50.9% 증가할 예정. 대형TV 수요증가로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도 괜찮은 편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보급률이 76%에 육박해 성숙기에 접어들어 고속성장은 어렵겠다.

글로벌 과잉공급 상태인 철강, 전방산업과 동반 어려움을 겪는 기계, 과당경쟁의 섬유, 주택공급과잉의 건설업종 등은 흐림으로 예고되고 있다.


자동차업종은 상반기까지만 해도 좋았으나 해외 현지공장 완공과 노조파업 등의 영향으로, 수주가뭄이 계속되는 조선과 함께 ‘비’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자동차업종의 경우 노조 파업으로 대규모 생산차질액이 발생했고, 최근 준공된 멕시코공장, 중국 창저우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서 4분기 국내 생산량은 10.5% 감소할 예정이다. 여기에 개별소비세 인하혜택이 종료돼 4분기 국산차 내수판매는 전년 동기대비 21.4%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수주가뭄이 지속되고 있는 조선 업종도 ‘비’로 예상됐다. 실제로 8월까지 세계 전체의 누적 수주량은 전년대비 68% 감소한 가운데 한국의 수주도 87% 급격히 감소했다. 조선사의 ‘남은 일감’을 뜻하는 수주잔량도 2003년 10월 이래 최저를 기록하고 있어 업계는 이같은 분위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는“올해도 어렵지만 일감이 바닥날 내년이 더 걱정”이라고 밝혔다.

이종명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최근 전체 업종에 걸쳐 글로벌 공급과잉으로 전반적인 교역량이 감소하고 한국산업의 입지도 좁아지고 있다”며 “기존산업의 고부가가치와 새로운 분야와의 융합 등을 통해 기존의 사업영역을 파괴하고 새로운 핵심역량을 강화해나가는 노력이 절실한 때”라고 전했다.

대한상의 산업기상도는 업종별 실적과 전망을 집계하고 국내외 긍정적·부정적 요인을 분석해 이를 기상도로 표현한 것으로, 맑음(매우 좋음)-구름조금(좋음)-흐림(어려움)-비(매우 어려움) 4단계로 전해졌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