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이민화의 4차 산업혁명] 제조 현장의 혁신에 역량 총집결

<2> 세계의 동향

獨 생산 효율·유연성 양립 추진

美 제조업 부활 프로젝트 가동

中도 '창업'으로 패러다임 변화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로봇,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사물인터넷과 바이오 등 첨단기술들로 현실과 가상의 세계가 융합하면서 초래될 인류 사회의 혁명적 변화를 의미한다. 주요 국가의 4차 산업혁명의 추진 현황을 한 번 살펴보는 것이 우리의 대응 전략을 구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독일은 자신들의 강점인 제조 현장 역량을 바탕으로 지난 2012년 지멘스, 보쉬와 SAP 등이 주도해 ‘인더스트리 4.0 워킹그룹’을 시작했고, 2014년 이를 ‘인더스트리 4.0 플랫폼’으로 확장했다. 독일은 생산과정의 효율성과 함께 생산의 유연성(다품종 소량생산) 양립을 추진하며 현실과 가상을 융합하는 CPS(Cyber Physical System)가 중심 개념이다. 디지털 공장이 가상의 공간에서 생산공정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라면, 스마트 공장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생산과정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실제로 독일 남부 암베르크에 위치한 지멘스의 스마트 공장은 불량률을 40분의1로 줄이고 에너지 소비를 30% 절감하고 제품 출하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한 바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을 뒷받침하는 ‘제조업의 미래 생산성과 성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사물인터넷 등 아홉 가지 기반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의 이론적 체계는 아직 정리되지 않았다고 보여 진다. 우리에게 아직 기회가 남아 있다는 의미다.

독일의 4차 산업혁명 개념은 이제 ‘호라이즌 2020’이라는 이름으로 유럽연합(EU)으로 확산 중이다. EU는 제조업의 최적화를 넘어 EU가 당면한 고령화와 양극화 등 사회 문제 해결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대표적 사례가 EU의 데이터 보호규칙 18조에서 “본인의 개인정보를 제공 받을 권리와 제3의 데이터 관리자에게 이전할 수 있는 권리”를 확립해 4차 산업혁명의 데이터 원칙을 세운 것이다.


미국은 2015년 ‘신 미국혁신전략’에서 첨단 자동차 등 9대 전략적 기회 분야를 제시하고 있다. 미래 제조업에서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연동돼 인건비의 비중은 급격히 줄고 소비 시장과의 접근성이 중요해지므로 리쇼어링(기업들의 본국 복귀)이라는 미국의 제조업 부활 프로젝트가 가시화되고 있다. 미국의 제조강국 부활 프로젝트의 3대 요소는 산업인터넷, 3D 프린터와 로봇 및 인공지능으로 구성된다. 제너럴일렉트릭(GE)사는 산업현장 비효율성의 해결책으로 산업 현장의 기계들에 스마트 기능 탑재(IoT), 방대한 양의 정보 처리(빅데이터), 데이터 원격 저장 기술(클라우드), 첨단 분석 툴(인공지능) 등을 활용하자는 목적으로 프레딕스(PREDIX)라는 산업 인터넷컨소시엄(IIC)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 역시 독일과 같이 제조 현장의 혁신을 일차적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기사



일본은 독일 미국에 비해 뒤진 4차 산업혁명을 따라잡기 위해 2016년 4월 7대 추진 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후지쓰는 생산 환경의 가상화를 통해 생산 지연 시간을 5분의1로 감축하는 성과도 보이고 있다. 주목할 점은 규제 혁신과 데이터 활용 촉진 방안이다. 사생활과 개인정보 활용의 균형을 위한 국제 규격화도 적극적이다. 일본은 자신이 자랑하는 로봇 기술을 중심으로 ‘소사이어티 5.0’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도 제조강국을 위한 ‘중국제조 2025’ 계획을 통해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에서 ‘크리에이티드 인 차이나(Created in China)’로 국가 성장 패러다임을 혁신하는 중이다. 제조2025 프로젝트를 통해 오는 2035년까지 중국의 경쟁력을 미국·독일·일본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2049년까지는 세계 1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개념은 ‘혁신’이며 이를 구현하는 창업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리커창 총리는 인터넷 플러스 정책을 통해 현실과 가상이 융합하는 스마트 산업의 인프라 구축을 선언한 바 있다.

지금 전 세계는 4차 산업혁명 선도 전략에 국가 정책 역량을 총집결하는 중이다. 한국도 예외가 될 수는 없다.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