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국 재정 더풀어라” 미 재무부까지 압박

환율보고서 통해 이례적 언급

"소극적 대응에 경기후퇴 우려"



나라 안팎으로 쏟아지는 악재에도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한국 경제에 대해 국제통화기금(IMF),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재정역할론’을 강조한 가운데 미국 재무부까지 “재정을 더 풀라”고 권고하고 나섰다. 한국의 소극적 재정정책이 국내외에서 십자포화를 받고 있는 셈이다. 재정당국이 지나치게 몸을 사려 고꾸라지는 경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미 재무부는 14일(현지시간) 의회에 제출한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한국은 경기를 후퇴시키는 재정충격(contractionary fiscal impulse)을 피하기 위해 단기 재정확대를 포함한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국의 재정확장 정도가 기대에 못 미치고 이는 경기를 후퇴시키는 충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미 재무부가 환율보고서에서 재정정책 문제를 적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한은은 지난 2014년 8월부터 다섯 차례에 걸쳐 금리를 1.25%까지 내렸다”며 “하지만 재정의 경기부양 정도는 제약돼왔다”고 비판했다. 7월 11조원대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한 것에 대해서도 “더 거둬들인 세금을 다시 푸는 것에 불과하고 일부는 국가채무를 갚는 데 썼다”며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


보고서는 “특히 내년 예산안은 국내총생산(GDP)의 0.5%밖에 늘어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그러나 정부는 재정확대 요구에 대해 여전히 신중한 입장이다. 매년 재정적자를 기록하고 있고 이로 인해 국가부채도 조금씩 늘고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에 따른 복지수요, 통일비용 등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해 재정을 가능한 한 아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는 내년 40.4%로 예상돼 세계에서 가장 양호하다. 올해보다 1.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은 115.2%, 미국은 110.6%, 일본은 229.2%에 달한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