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과다축적 체지방, 성조숙증의 한 원인”

박미정·김신혜 교수팀, 여야 242명 분석

관련 효소 활성화→호르몬 농도 높여

비만 여자아이의 몸속에 축적된 과다한 체지방이 성조숙증에 관여하는 효소와 호르몬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박미정·김신혜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은 사춘기 이전 7~13세 여아 242명을 대상으로 체지방량에 따라 부신에서 분비되는 효소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이 혈액검사를 통해 체지방량·성조숙증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남성호르몬 안드로겐의 농도를 확인한 결과 체지방이 많은 여아는 안드로겐의 일종인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농도가 1.4배, 부신에서 분비되는 효소(17,20-lyase)의 활성도가 1.6배 높았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 비만 아동의 몸속에 축적된 과다한 체지방이 부신에서 분비되는 효소를 활성화, 안드로겐을 증가시킴으로써 말초성 성조숙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성조숙증은 가슴이 커지고 음모가 발달하는 2차 성징이 사춘기보다 빨리 나타나는 질환으로 뇌에서 활성화되는 ‘중추성’, 부신·난소·고환 등에서 활성화되는 ‘말초성’으로 나눌 수 있다.

박 교수는 “부신 이상에 따른 성조숙증이 발생하면 성장판이 빨리 닫히고 성인이 됐을 때 불임의 원인이 되는 다낭성 난포증후군 위험이 커진다”며 “체지방량을 적극적으로 조절해야 성조숙증의 원인이 되는 부신 효소의 활성화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내분비대사학회지(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최근호에 발표됐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