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초단기근로자 5년 만에 최대치, 원인은?…‘경기 불황으로 ’알바‘ 고용 늘었다’

초단기 근로자가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취업시간별 취업자’에 따르면 ‘일주일 근로시간’이 1시간~17시간인 취업자는 올해 3분기 기준 134만3000명으로 작년 3분기보다 9만1000명이 늘었다. 154만명을 기록한 2011년 3분기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일주일 근무시간이 17시간 이하인 근무 형태는 하루 근무시간이 2~3시간으로 짧거나 일주일에 3∼4일만 근무하는 형태다.

전체 취업자가 늘면서 초단기 근로자도 점차 증가했지만 최근 증가 속도가 빠르다. 3분기 전체 취업자가 1.2% 증가하는 동안 초단기 근로자는 7.2% 증가했다. 지난해 2분기부터 6분기 연속 늘어나면서 초단기 취업자는 119만9000명에서 1년여 만에 130만명을 넘어섰다.

초단기 근로자가 늘어나면서 전체 취업자도 늘어났다. 그러나 전체 취업자 가운데 초단기 근로자의 증가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빨랐다. 올 3분기에 전체 취업자가 1.2% 증가하는 동안 초단기 근로자는 더 큰 폭인 7.2% 늘었다.


초단기 근로자가 늘어나는 것은 정부가 경력단절 여성을 고용시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장려한 결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정부는 2012년 현 정부 임기 내에 고용률 70%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으며 시간제 일자리를 늘려 여성들이 출산과 육아 후에도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기업들이 비용 부담이 큰 상용직 대신 필요한 인력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아르바이트생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추세도 영향을 미쳤다.

외환위기로 대량 실업사태가 빚어진 때인 1998년 4분기엔 초단기 근로자가 1년 전보다 무려 22만6000명, 1999년 1분기엔 24만4000명 늘어난 바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4분기엔 14만3000명, 2010년 1분기 17만8000명의 초단기 근로자가 증가했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