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전업한 유튜브 크리에이터 "나만의 이야깃거리 만들어야 성공"

구독자 10만명 넘은

영화리뷰 1인 창작자들

친근한 작품 분석 인기

대기업 연봉만큼 벌어

영화 리뷰 분야에서 구독자 10만명을 넘어선 1인 창작자(유튜브 크리에이터) ‘발없는새’(왼쪽부터), ‘백수골방’, ‘드림텔러’가 18일 오전 서울 강남구 구글캠퍼스 서울에서 열린 ‘유튜브 크리에이터와의 대화’에 참석해 자신들의 성공비결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구글코리아영화 리뷰 분야에서 구독자 10만명을 넘어선 1인 창작자(유튜브 크리에이터) ‘발없는새’(왼쪽부터), ‘백수골방’, ‘드림텔러’가 18일 오전 서울 강남구 구글캠퍼스 서울에서 열린 ‘유튜브 크리에이터와의 대화’에 참석해 자신들의 성공비결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구글코리아




영화 리뷰 분야에서 구독자 10만명을 넘어선 1인 창작자(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은 스스로의 성공비결을 ‘꾸준함’과 ‘자신만의 이야깃거리’로 꼽았다. 유튜브 크리에이터 산업에서 채널 구독자 10만명 확보는 창업으로 치면 데스 밸리(창업 기업들이 자금조달, 시장진입 등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사업을 접는 단계)를 넘어서는 단계로, 고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해 전업의 지표로 여겨진다.

18일 서울 강남구 구글캠퍼스 서울에서 열린 유튜브 크리에이터와의 대화에서 영화 리뷰 전문 1인 창작자 ‘발없는새’, ‘드림텔러’, ‘백수골방’은 이같은 성공비결을 밝혔다.


현재 구독자 19만여명을 확보하고 있는 ‘발없는새(본명 배재문)’는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하다가 유튜브를 최종적으로 선택했다. 그는 “전통 매체와 달리 영화 산업에 속해있지 않다보니 하고 싶은 이야기를 마음껏 할 수 있다”며 “광고를 할 때는 구독자에게 광고라는 점을 알리고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근 영화리뷰 분야로 나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전업을 결심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한 화장품회사 홍보팀을 그만두고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전업한 ‘백수골방(본명 김시우)’는 “직장생활을 6개월 간 하면서 제 얘기를 하는 것보다는 지시를 받는 일을 하는 데 답답함을 느꼈다”며 “시작한 지 일년 됐는데 삼시세끼를 해결할 정도의 구독자 지표가 나와 회사를 그만두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정확하게 얘기할 수는 없지만 또래들이 대기업에서 받는 연봉 이상을 벌고 있다”고 덧붙였다. 요즘 백수골방의 일주일은 기획 후 탈고까지 3∼4일, 영상 편집 2일 등 일주일을 주기로 두 편 정도 영상을 꾸준히 올린다.

다만 화려한 영상 편집 기술이나 전문가만의 분석까지는 필요하지 않다는 게 이들의 공통적인 의견. 배씨는 지난 8년간 네이버에 영화 블로그를 쓰고 곰TV와 아프리카TV에서도 영화 리뷰 콘텐츠를 올리면서 영화 한 분야를 팠다. 그는 “유튜브 플랫폼을 택하게 되면서 영상 편집을 시작해 아직도 ‘무비메이커(윈도우 운영체제의 기초단계 영상편집 도구)’를 주로 이용한다”며 “영화분석도 친한 친구가 얘기해주는 것 같은 아마추어같은 느낌을 구독자들이 좋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자신만의 이야깃거리를 확보할 것을 주문했다. 올해 들어 유튜브에 채널을 개설한 ‘드림텔러(본명 유지훈)’는 아직 일년이 안됐지만 15만명 이상의 유튜브 구독자를 확보했다. 비결은 영화뿐만 아니라 인기 뮤직비디오 속 등장하는 상징물을 해석하는 색다른 영상에 있다. 그는 “해외 구독자가 3만명이 넘는 20%에 달한다”며 “자신만의 이야깃거리, 자신만의 전달 도구를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의 구독자는 20대 초중반이 가장 비중이 높으며 앞으로 점차 20∼40대까지 확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