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슈바프 "4차 산업혁명 속도 빨라...대기업 아닌 '작은 물고기'로 대응해야"

슈바프 WEF 회장, 본지 후원 '4차 산업혁명 포럼' 참석

대기업 AI·드론 등 기술변화에 취약해 강소기업 중심 재편 필요

4차 산업혁명은 시스템 혁신...산업 전반 아우르는 시각 갖춰야

민간투자 활성화 통한 신생기업 확대·창의적 인재양성도 강조

클라우스 슈바프(가운데) 세계경제포럼 회장이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서울경제신문 후원으로 ‘국회 제4차산업혁명포럼’이 주최한 퓨처스 아카데미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상엽(뒷줄 왼쪽부터)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송희경 새누리당 의원, 슈바프 회장,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 신용현 국민의당 의원.     /연합뉴스클라우스 슈바프(가운데) 세계경제포럼 회장이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서울경제신문 후원으로 ‘국회 제4차산업혁명포럼’이 주최한 퓨처스 아카데미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상엽(뒷줄 왼쪽부터)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송희경 새누리당 의원, 슈바프 회장,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 신용현 국민의당 의원. /연합뉴스


“재벌 또는 대기업은 거대한 물고기가 아니라 작은 물고기 조합으로 네트워크화해 빠르고 기민하게 움직여야 합니다. 그래서 구조조정이 필요합니다.”

올 초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다보스포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의 화두를 던진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 회장은 18일 ‘국회 제4차산업혁명포럼(공동대표 송희경·박경미·신용현)’ 주최로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퓨처스 아카데미에서 대기업 위주인 한국 산업구조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며 뼈 있는 조언을 건넸다. 서울경제신문이 후원한 이날 행사에서 슈바프 회장은 고국인 독일과 비교하면서 “독일은 중견기업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성공 사례를 만들어왔다”며 “계속해서 자기 구조를 바꾸고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4차 산업혁명은 증기기관 개발에서 비롯된 1차 혁명, 전기제품의 대량생산에서 촉발된 2차 혁명, 정보기술(IT) 정보화의 3차 혁명에 이어 인터넷과 자동화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이 결합한 경제산업·사회적 구조 변화를 뜻한다.

슈바프 회장은 한국은 강력한 역동성이 인상적인 국가이나 대기업 중심이다 보니 인공지능·드론·로봇을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트렌드를 읽고 변화하는 데 다소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17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한 그는 “중국에서 올해 430만개 기업이 새로 생겨난 데 비해 한국에는 신생기업이 좀처럼 없고 그나마 정부지원을 받는 곳이 대부분”이라고 꼬집었다.


기업의 ‘시스템’ 혁신도 강조했다. 그는 “우버·에어비앤비는 새로운 제품이 아니라 우리가 소비하는 방식을 바꾼 회사”라며 “(소비·유통 등) 시스템을 바꾸는 게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어 “자율주행차 프로젝트는 자동차 제조업, 전자산업에만 국한된 게 아니라 보험업·도시설계업 등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며 “칸막이로 나눠 볼 게 아니라 시스템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시각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문제는 일자리가 생기는 속도가 기술 발전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입니다. 정부와 국회가 기술적 변화를 이해하고 필요한 시스템을 입법을 통해 지원해야 합니다.” 슈바프 회장은 “어린 나이부터 탐구·탐험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가르쳐야 한다”며 “소프트웨어 코딩교육에 탁월한 국가가 4차 산업혁명에서 우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한국은 저출산·고령화라 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해 이민(정책)을 좀 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 자리에서 송희경 새누리당 의원은 “전통산업이 새로운 가치를 찾거나 기존 가치를 업그레이드할 때 많은 규제가 존재한다”며 규제 철폐를 강조했다.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서구에서 일찍부터 강조하는 STEM(Science·Technology·Engineering·Mathematics) 교육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용현 국민의당 의원은 “스마트폰으로 인한 변화보다 4차 산업혁명 변화의 부피·폭·범위가 더 상당할 것”이라며 신속한 대응체제를 강조했다.

한편 슈바프 회장은 이날 네이버·교보문고·한국전력공사·메가스터디 공동주관으로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열린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와의 특별대담에서 “AI와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기존 산업을 대체하면서 일반 행정, 세무사, 보험설계사, 법조인과 같은 직업은 앞으로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으나 고도의 기술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분명 고용 기회가 더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 회장이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서울경제신문 후원으로 ‘국회 제4차산업혁명포럼’이 주최한 퓨처스 아카데미에서 한국 대기업의 구조조정과 시스템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연합뉴스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 회장이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서울경제신문 후원으로 ‘국회 제4차산업혁명포럼’이 주최한 퓨처스 아카데미에서 한국 대기업의 구조조정과 시스템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연합뉴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