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수원·대구·광주 軍공항 이전 생산유발 효과 17조

■국방부·국토부 분석

인구 유입·대규모 주거단지 조성

소비 늘고 교통 개선 등 경제 활력

지자체 3곳 13만명 고용창출도



수원·대구·광주 등 세 곳의 군 공항 이전으로 경기도와 경상북도·전라남도 등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모두 17조6,949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예상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또 13만여 명에 이르는 고용창출 효과도 예측됐다.

국방부와 국토교통부는 세 곳의 군 공항 이전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하는 용역을 시행한 결과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8일 밝혔다.


지자체별로는 수원 공항 이전에 따라 경기도에 발생하는 생산유발액은 5조5,751억원(연간 9,292억원 수준)으로 집계됐고 부가가치유발액은 1조9,363억원(연간 3,227억원)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른 취업유발인원은 3만9,062명으로 분석됐다. 신공항 건설에 6년간 5조2,625억원이 투입되는 대구공항 이전 사업에는 경상북도에 7조2,899억원의 생산유발액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가가치유발액은 2조5,899억원으로 취업 유발인원은 5만1,784명으로 분석됐다. 광주공항 이전에 따라 신공항 건설에 3조5,539억원이 투입될 전라남도에는 생산유발액 4조8,299억원, 부가가치유발액 1조7,065억원, 취업유발인원 3만6,297명으로 추산됐다.

관련기사



국방부 관계자는 “군부대가 주둔하면 이전 지역에 군 장병과 가족 등 인구가 유입되고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 식당과 슈퍼 등 판매시설이 들어서 소비활동이 증가할 것”이라며 “여기에 학교와 교통 여건이 좋아지는 등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이와 함께 소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 기지의 약 2배 정도의 부지 매입을 통해 소음 피해를 해소해나갈 계획이다. 일부 매입하지 않은 소음 피해 지역에 대해서는 소음 피해 보상, 방음시설 설치 등으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도 마련한다. 현재 수원과 광주는 군 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 선정을 위해 관계 지자체장과 협의하고 있다. 대구는 민·군공항 통합이전에 따라 후보지 조사 재용역을 수행하는 단계다. 국방부는 “앞으로 군 공항 이전을 지역 주민의 의사를 반영하고 법 절차에 따라 수행해 이전 지역과 종전 지역이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박홍용기자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