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물·화제

이집트 피라미드서 '비밀의 방' 발견됐다

뮤입자 망원경 등 첨단기술로 내부공간 확인

용도는 아직 확인 안돼

이집트에 위치한 피라미드/위키피디아이집트에 위치한 피라미드/위키피디아


이집트의 고대 유물 피라미드에서 과학자들이 구조물을 일절 건드리지 않고도 그간 알려지지 않은 방을 찾아냈다.

영국 매체 미러 등은 17일(현지시간) 피라미드의 구조를 밝히는 ‘스캔 피라미드’ 프로젝트팀이 4,500년 된 기자의 대피라미드 안에 2개의 공간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이 중 하나는 피라미드 북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피라미드 내부로 통하는 최소 1개 이상의 복도와 이어져 있을 것으로 추측됐다. 또 다른 공간은 북동쪽에서 발견됐으나 이 두 공간이 연결돼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라오 스네프루 아들의 이름을 따 쿠푸의 피라미드로 불리기도 하는 이 피라미드는 높이 146m로 기자 지역 피라미드 중 가장 크다.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도 유명하며, 이집트의 다른 피라미드처럼 방 3개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캔 피라미드 프로젝트팀은 이번 연구에서 피라미드의 구조물을 건드리지 않도록 적외선 체열 측정, 뮤온(뮤입자) 방사선 촬영, 3D 복원 기술 등을 활용했다. 뮤입자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엑스레이(X-ray)와 비슷한데, 두꺼운 콘크리트나 바위를 통과할 정도로 투과력이 좋다. 프로젝트팀은 뮤입자를 피라미드에 쏘고 특수 필름을 설치, 투과한 입자의 양을 확인해 내부 물질의 밀도차를 추정한 뒤 이를 토대로 피라미드의 구조를 파악했다. 밀도가 높은 물체는 이를 통과하는 뮤입자의 수가 줄어든다는 원리를 활용한 관측 결과였다.

관련기사



다만, 아직 새로 발견된 공간의 규모, 성질, 기능 등은 아직 파악되지 않아 추후 조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스캔 피라미드 프로젝트는 지난해 10월 피라미드 건축 양식과 내부 구조를 살피기 위해 시작됐다. 카이로 대학과 프랑스, 캐나다, 일본의 전문 연구·기술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