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동·남해안 해수면 상승 태평양서 가장 심각...대응정책 재점검 필요

나사 등 연구결과 "해수면 상승문제 과소평가했다" 반성

20세기 해수면 오름폭 예상보다 커...'14cm →17cm'

빙하 중력 약해져 멀리 밀려난 물이 타해역 수면 상승시킨듯

지난 20세기 태평양 일대의 해수면 상승지도. 붉은색이 짙어질수록 상승폭이 크다는 뜻인데 동해와 남해 등 우리나라와 일본 근해가 태평양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이미지제공=나사지난 20세기 태평양 일대의 해수면 상승지도. 붉은색이 짙어질수록 상승폭이 크다는 뜻인데 동해와 남해 등 우리나라와 일본 근해가 태평양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이미지제공=나사




전세계 해수면 상승 문제가 당초 예상보다 심각한 것 같다는 미국항공우주국(나사·NASA)의 분석이 나왔다.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의 동해 일대 수면 상승도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 정부 당국과 학계가 해수면 상승 속도에 대한 기존 연구와 대책을 재점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사는 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인공위성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세기 동안 전세계 해수면 상승 평균치가 과소 산정된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계 해수면 상승 분석 지도를 19일 공개했다. 해당 기간중 해수면이 당초 예상했던 5.5인치(약 14㎝)보다 높은 6.7인치(17㎝)가량 평균적으로 올라갔다는 내용이다.

관련기사



해당 지도를 보면 우리나라 주변 동해와 남해 일대가 태평양에서 가장 붉게 표시돼 있는데 붉은 정도가 높게 표시될 수록 해수면 상승폭이 컸음을 의미한다. 이에 앞서 우리나라의 국립해양조사원도 최근 자료를 통해 2015년 속초의 해수면이 전년대비 2.71㎜ 상승해 같은 기간 전국 해수면 상승치인 2.48㎜보다 높았다고 밝히는 등 동해안 일대 해수면 상승 문제가 심각하다는 방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대서양에선 남미 근해의 남반부 일대가 심각한 해수면 상승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바다의 해수면 변화 지도. 붉은 색이 짙어질 수록 해수면 상승폭이 크며, 푸른 색이 짙어지면 해수면이 낮아진다는 뜻임. 빙하가 급격히 녹고 있는 북극해의 일대의 해수면이 짙은 청색을 띠고 있어 해당 수역에서 바닷물이 밀려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타수역의 해수면 상승을 초래하고 있음을 추정케 한다. /이미지 제공=나사전세계 바다의 해수면 변화 지도. 붉은 색이 짙어질 수록 해수면 상승폭이 크며, 푸른 색이 짙어지면 해수면이 낮아진다는 뜻임. 빙하가 급격히 녹고 있는 북극해의 일대의 해수면이 짙은 청색을 띠고 있어 해당 수역에서 바닷물이 밀려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타수역의 해수면 상승을 초래하고 있음을 추정케 한다. /이미지 제공=나사


반면 그린란드를 중심으로 한 북극해 일대는 짙은 푸른색으로 표시됐는데 이는 파란빛이 짙게 표시될 수록 해수면이 낮아졌음을 뜻한다. 북극권 일대 해수면은 빙하가 급속히 녹아 상승했을 것으로 당초 예상됐으나 반대로 하강이 기록돼 놀랍다고 나사측은 지적했다. 그 원인은 빙하가 녹아 질량을 잃어버리면서 그만큼 빙하 주변 중력이 약해지자 근해의 바닷물이 빙하로부터 멀어지게 됐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이렇게 북극에서 밀려난 바닷물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타해역에서 예상보다 높은 해수면 상승을 초래했다는 가설이다.

이번 연구는 나사의 제트추진연구소가 화와이대 해수면센터 등 여러 대학 연구팀과 함께 수행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