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시간강사도 교원 신분 부여…1년 이상 임용 원칙

/출처=이미지투데이/출처=이미지투데이


대학 시간강사에게도 법적 교원 신분이 부여되고, 원칙적으로 1년 이상 임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고등교육법 개정안(시간강사법)을 19일 입법예고했다.

개정안은 강사단체와 대학단체, 정부와 국회가 추천한 전문가 등이 참여한 대학강사제도 정책자문위원회가 지난달 건의한 대학강사제도 종합대책안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시간강사도 교수, 부교수, 조교수와 함께 법적 교원의 한 종류로 규정된다.

임용기간도 원칙적으로 1년 이상 임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방송대 출석강사와 팀티칭·계절학기 수업 강사, 기존 강의자의 퇴직·휴직·징계·파견 등에 따른 대체강사에 한해서만 1년 미만 임용을 허용했다.


강사 신규 채용 시에는 공정성이 담보된 별도 심사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했다. 또 강사의 임무는 ‘학생 교육’으로만 한정해 학생 지도나 연구 등을 강요하지 못하도록 했다.

관련기사



시간강사법은 시간강사의 고용 안정성을 높인다는 취지에서 주 9시간 이상 강의하는 전업 강사에게 교원 지위를 부여하고 임용 기간을 1년 이상 보장하는 내용으로 2012년 도입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취지와는 달리 강사의 대량 해고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와 3년간 도입이 유예됐으며, 지난해 말 또다시 2018년까지 2년간 재유예됐다.

교육부는 추가적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규제·법제심사 등을 거쳐 법률안을 최종적으로 국회에 제출할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입법예고 후 절차가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에는 국회에 최종 법률안을 제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