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여의도 저승사자 떴다"...초긴장하는 증권가

■檢 '한미약품 공매도' 증권사 등 10여곳 압수수색

본사·지점·운용사까지 동시다발

"PI투자 없고 위탁매매라 문제없다" 반응 속

소속 직원 연루 됐을라 노심초사

한미약품의 기술수출 파기와 관련한 공매도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검찰이 증권·자산운용사 10여곳에 대한 대규모 압수수색에 나서면서 여의도 증권가가 술렁이고 있다. 압수수색을 받은 증권사와 운용사들은 고객의 매매주문을 받아 대행하는 위탁매매(브로커리지) 업무를 하는 만큼 별문제가 없다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혹시 소속 직원이 불법거래에 연루되지 않았을까 긴장을 놓지 않고 있다.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합수단)이 국내 주요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의 본사와 지점 등을 동시에 압수수색한 19일 여의도 증권가는 압수수색 여부와 내용 등을 파악하느라 하루 종일 몸살을 앓았다. 이날 검찰의 압수수색 대상에는 NH와 미래에셋대우 같은 대형 증권사부터 유안타와 하이·이베스트 등 중소형 증권사를 망라한데다 삼성· KB·타임폴리오자산운용 등 크고 작은 운용사들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 회사 가운데 상당수는 한미약품이 지난달 30일 기술수출 계약이 해지됐다는 공시를 하기 직전 주가 하락에 투자해 이득을 취한 공매도 거래량이 많은 곳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악재성 공시가 나오기 전에 미공개 정보가 증권·운용사 직원들에게 흘러들어 갔을 가능성도 함께 살펴보고 있다.


이날 검찰의 대규모 압수수색에 대해 해당 회사들은 저마다 애써 태연한 반응을 보이면서도 강도 높은 수사 의지에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실제 검찰이 10곳이 넘는 증권사와 운용사들을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한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검찰이 최근 증권사들을 압수수색했던 지난해 4월에도 대상 증권사는 7곳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검찰 수사 선상의 증권사는 ‘프라임브로커서비스(PBS)’ 와 프랍트레이딩(PI·자기자본투자)을 하는 곳에 집중된 것으로 전해졌다. PBS는 헤지펀드 등의 주문을 받아 처리하고 공매도에 필요한 주식을 빌려주는 대차거래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일부 증권사는 PBS와 PI 업무를 하지 않는 않아 왜 압수수색 대상인지 의아하다는 반응도 나온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기관투자가의 주문을 받아 위탁 처리할 뿐 자기매매(PI) 방식으로 공매도를 하지 않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검찰이 10곳이 넘는 증권사 본사와 지점, 운용사를 동시에 압수수색하는 것 자체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 솔직히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고 전했다.

증권·운용사들은 검찰의 수사범위가 앞으로 어디까지 확대될지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한 증권사의 임원은 “일명 ‘여의도 저승사자’로 통하는 남부지검 합수단을 이끌었던 김형준 부장검사의 비리로 실추된 명예회복을 위해서라도 합수단이 칼날을 더 매섭게 들이대지 않겠느냐”며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일부 불법거래 세력 때문에 증권업계 전체가 범죄집단으로 매도되지는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한미약품 사태를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증권업계 전체를 싸잡아 비판하는 것은 억울하지만 우리 스스로 자초한 측면도 없지 않다”며 “검찰 수사를 통해 의혹은 확실히 밝혀내고 업계도 쇄신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