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김해신공항은 ‘영남권 관문공항’, 접근성 강화 등 우선돼야

20일 오후 부산상의서 열린 토론회서

현 김해신공항 추진 계획 보완·구체화가 가장 우선

LCC 공급 역량 확대로 신규노선 지속 개발과 슬롯 증대도 필요

시내 도심터미널(CAT)과 공항을 연결하는 전용 철도망 구축

김해신공항을 영남권 관문공항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의 기본계획을 구체화하고 김해신공항의 접근 교통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조성제)는 부산시와 함께 20일 오후 부산상의 2층 국제회의장에서 김해공항가덕이전시민추진단 주관으로 ‘김해신공항 미래 발전 전략 모색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나웅진 국토교통부 공항정책 과장, 허종 한국공항정책연구소 고문, 장호상 한국공항공사 신공항추진본부장, 이강석 한서대학교 항공물류교통학부 교수 등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해 김해신공항의 발전 전략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오성열 한국교통연구원 박사가 ‘이제는 김해신공항에 힘을 모을 때’라는 부제로 영남권신공항 추진경위와 ADPi의 사전타당성검토 결과를 설명하고 김해신공항의 발전 전략을 내용으로 주제발표를 했다.


오 박사는 김해신공항을 ‘영남권 관문공항’으로 규정하고 이를 위해서는 우선 김해신공항 계획을 구체화하고 접근 교통체계의 강화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접근성 제고를 위한 교통체계 개선 방안으로는 기존의 철도노선 보완과 함께 대중교통 수단 분담률을 늘리고 서울역과 광명 KTX역 도심터널과 같은 공항전용철도 구축, 전용버스노선 확충 등을 제시했다.

또 김해신공항 시설에 걸 맞는 위상 강화를 위해서는 에어부산과 같은 지역항공사를 중심으로 한 LCC 공급 역량을 확대하면서 지속적인 신규노선 개발 노력이 뒤따라야 하고 공항 운영시간 확대를 통한 슬롯 증대도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고 했다.

한편 조성제 시민추진단 상임공동대표는 토론회 인사말을 통해 김해신공항이 영남권 관문공항이 되기 위해서는 현재 김해공항의 가장 큰 아킬레스건인 소음문제를 해결해 24시간 운항 가능한 공항이 돼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하기도 했다.

이날 전문가 토론회에는 조성제 김해공항가덕이전시민추진단 상임공동대표와 정경진 행정부시장, 박인호 시민단체 대표, 공항전문가,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김해신공항에 대한 지역 사회의 관심을 반영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