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신약 허가 수수료 2배 오른다

식약처 "심사인력 부족 해결" 인상 추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바이오신약 등 허가 때 업체로부터 받는 수수료를 지금보다 2배가량 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식약처는 수수료 인상을 통해 바이오의약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심사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나갈 계획이다. ★본지 9월23일자 16면 참조

식약처는 신약허가 심사 수수료를 올리는 내용의 ‘의약품 등의 허가 등에 관한 수수료 규정’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지금은 신약품목허가 때 심사 수수료가 414만원(이하 방문·우편신청 기준)이지만 이를 683만원으로 올린다. 현재보다 약 64.9% 증가하는 것. 희귀의약품의 경우 322만원에서 376만원으로 16.8%, 일반 의약품은 126만원에서 222만원으로 76.1% 인상된다.


식약처는 이번 개정안 이유에 대해 ‘2008년 이후 물가상승률 등 인상요인이 반영되지 않았던 의약품 허가·신고 수수료 금액을 현실화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수수료 인상을 통해 심사인력 확충을 꾀할 계획이다. 미국의 경우 1990년대 중반부터 신약허가 수수료를 28억원으로 대폭 올리면서 수수료 인상분을 심사인력 확충에 투자했다.

관련기사



현재 바이오의약품의 심사·허가인력은 73명으로 식약처가 출범한 2013년 72명에서 한 명 느는 데 그쳤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바이오의약품 개발 투자가 급증하면서 심사인력 부족 문제가 불거진 상태다. 바이오의료기기 분야에서 심사관 한 명당 심사 건수는 0.44건으로 미국(0.04)의 무려 11배 수준이다. 이 때문에 “정부가 바이오산업 육성 구호만 외치고 심사인력과 같은 기본적인 투자는 나 몰라라 한다”는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의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수료 인상을 통해 심사인력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환영한다”면서도 “인상 폭이 적어 비용 부담만 들고 정작 심사인력 확충은 미미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든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