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응급환자, 다른 병원으로 옮겨질 시 사망률 3배 '높아'

응급의료기관 전원 건수 가운데 20%는 '부적절한 전원'으로 드러나

응급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률이 약 3배 높다는 보고서가 나왔다→./출처=이미지투데이응급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률이 약 3배 높다는 보고서가 나왔다→./출처=이미지투데이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 중에서 다른 병원으로 옮겨진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사망률이 약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감사원의 ‘응급의료체계운영실태 성과’ 감사 보고서(2011년)를 보면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년간 전국 131개 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 중에서 다른 병원으로 옮기지 않고 최초 병원에서 치료받은 응급환자의 사망률은 1.2%였으나 타병원으로 이송된 응급환자의 사망률은 3.5%로 2.9배 높았다.

구체적으로 2년간 조사 대상 병원에서 발생한 전원 환자 수는 44만8,530명이며 이 가운데 1만5,734명이 사망했지만(사망률 3.5%), 비전원 환자 753만8,790명 가운데 사망한 환자 수는 8만 9,545명으로(사망률 1.2%) 비전원 환자의 사망률이 더 낮았다.


이번 보고서로 인해 최근 교통사고로 중상을 입고 전북대병원에 옮겨진 전북 전주의 두 살 배기 어린이가 병원 간에 수술을 미루는 과정에서 사망한 가운데 응급환자에게 내려지는 전원(傳院) 결정이 환자의 생존율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게 다시 한 번 확인된 것이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2010년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A대학교병원을 비롯해 전국 9개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된 환자의 사례를 수집해 전문가에게 전원이 적절했는지를 자문했다. 그 결과 전체 분석 건수 143건 가운데 30건(21%)은 부적절한 전원이었다고 지적했으며, 전원 과정 중 위반한 사항을 복수로 조사한 결과 전원 때 응급 처치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경우가 20건으로 가장 많았고, 동승인력 부적정(12건), 상급병원 의뢰절차 미준수(11건)가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이번에 전원요청을 거부해 권역외상센터 지정이 취소된 전남대병원의 전원율이 9.26%로 가장 높았고 을지대병원 3.23%, 가천대 길병원 2.56%, 부산대병원 2.49%, 목포 한국병원 2.32%, 울산대병원 2.24%의 전원율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 이번 보고서는 “응급의료현장에서는 병원 간 전원 업무의 기준이 되는 병원 간 전원 지침도 없는 상태”라며 “이송받을 병원에 환자에게 적절한 진료를 제공할 시설·인력이 있는지도 확인하지 않은 채 환자를 이송하는 등 부적절한 전원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응급환자의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