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철도파업 25일째지만 파업참가율 40%대··“대량해고 파국 불가피”

철도파업 25일째지만 파업참가율 40%대··“대량해고 파국 불가피”

‘20일 자정’, 최종 업무복귀 시한 넘겨

홍 사장 “직원들 복귀 안 해도 열차 운행” 경고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이 파업 중인 철도노조원들에게 20일 자정을 업무복귀의 마지노선으로 제시했지만 파업참가율은 여전히 40%대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코레일 측은 징계위원회를 구성해 핵심주동자 등을 대상으로 징계절차에 나서기로 해 대량해고 파국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코레일은 21일 파업 중인 철도노조원들에게 제시한 최종 업무복귀시간인 20일 자정까지 412명만이 복귀했고 현재 파업참가인원은 전체 노조원의 39.9%인 7,330명이라고 밝혔다. 20일 하루 복귀직원은 31명에 그쳤다.

코레일은 징계위원회를 구성해 핵심주동자 및 선동자 등 조직질서문란 행위자 182명를 대상으로 1차로 조사를 시행 중이며 조사가 완료되는 즉시 징계의결 요구 등 징계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고소 고발된 노조 간부는 20명, 직위해제자는 218명에 달한다. 이에 따라 파업이 더 장기화하면서 90여 명이 파면 또는 해임된 2013년 파업 당시와 같은 대량 해고사태가 불거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날 전체 열차 평균 운행률은 평시의 82.8% 수준에 머물며 열차 이용객들의 불편과 화물운송 차질이 이어질 전망이다. 수도권 전철은 2,052대에서 1,814대로 줄어 운행률이 88.4%로 떨어졌다. 새마을호는 52대에서 30대로 줄어 57.7%, 무궁화호는 271대에서 168대로 줄어 운행률이 62.0%에 각각 머물고 있다. 화물열차는 249대에서 112대로 줄어 평상시 45.0% 수준으로 운행한다.

홍순만 코레일 사장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지하철노조가 시민안전을 위해 파업을 중단했고 화물연대도 파업을 철회했지만 철도노조는 막대한 국민불편과 국가경제 손실을 끼치면서 역대 최장기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며 “파업장기화에 대비해 직원들이 복귀하지 않더라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열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홍용기자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