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뉴욕증시] 실적 혼조 속 달러 강세에 하락

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다우 0.3%·나스닥 0.5% 각각 떨어져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25일(현지시간) 기업들의 실적이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달러가 9개월 만에 최고치를 보이며 일제히 하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53.76포인트(0.3%) 낮은 18,169.2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8.17포인트(0.38%) 떨어진 2,143.1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6.43포인트(0.5%) 하락한 5,283.40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 뉴욕 맨해튼 월스트리트에 위치한 뉴욕증권거래소(NYSE)미국 뉴욕 맨해튼 월스트리트에 위치한 뉴욕증권거래소(NYSE)


시장은 엇갈린 기업 실적과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위원의 통화정책 관련 발언, 달러 강세 등을 주목했다. 특히 연준의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 확대에 따른 달러 강세와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나온 부진한 소비자심리 등이 투자 심리를 짓눌렀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존 윌리엄스 총재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올해 한 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한다며 연준이 다음번 인상에 나서기 가장 좋은 시기는 12월일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미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 약화 우려도 제기됐다. 콘퍼런스보드는 10월 소비자 신뢰지수(1985년 100기준)가 전월의 103.5에서 98.6으로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켓워치 조사치 101을 하회한 것이다.

관련기사



이날 장 마감 후 발표된 애플 실적 발표를 앞두고 나온 기업 실적은 혼재됐다. 다우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기업 중 하나인 제약업체 머크는 3분기 순익이 22억달러로 1년 전 동기 보다 4억달러 증가해 주가가 2.0% 상승했다. 생활용품업체 프록터앤갬블도 순익이 예상을 웃돌아 주가가 3.7% 올랐다.

반면 중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러 주가는 올해 3분기 주당 순익이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매출과 실적 전망치가 예측치 하회로 1.9% 하락했다. 가전회사인 월풀은 달러 강세에 따른 매출 타격으로 주가가 11% 빠졌다.

애널리스트들은 이날 주요 기업 실적의 명암이 엇갈리면서 투자자들이 시장 불확실성을 우려하고 있다며 특히 실적이 예상보다 좋은 기업들이 많지만 미래 실적 전망치를 높이는 기업은 적다고 평가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co.kr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