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대 ‘동남권 Grand ICT연구센터’ 출범…동남권 제조 IT 기술과 산업 혁신을 주도

27일 오전 해운대 센텀시티에서 ‘동남권 Grand ICT연구센터’ 개소식

부산시장·미래부 차관 등 참석…최장 8년간 국비·민간 등 196억 원 투입

비수도권 첫 선정…부산대 정상화 교수 센터장 맡아 업무 총괄

부산대학교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Grand ICT(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이로써 부산대는 동남권 제조 IT 기술과 산업 혁신을 주도할 산·학·연 연구협력 및 공동연구 수행을 통한 성과 창출에 본격 돌입한다.


부산대는 27일 오전 11시 부산 해운대구 우동 센텀시티 큐비e센텀 4층에서 ‘동남권 Grand ICT연구센터’(센터장 정상화·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 개소식을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날 개소식은 전호환 부산대 전호환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서병수 부산시장과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이상홍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장의 축사, 연구센터 소개와 현장 시찰, 현판식 순으로 진행된다.

‘Grand ICT연구센터’는 미래부가 정보통신기술 관련 중소·중견기업과의 대규모 산·학 공동연구를 위해 ICT기업 밀집지역에 설치하는 지역거점 연구센터다.

지난해 판교(성균관대)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선정된 부산대(주관)·창원대(참여) 컨소시엄의 ‘동남권 Grand ICT연구센터’는 지역 ICT 거점 집적화 단지인 부산 센텀시티 내에 660㎡ 규모로 터를 잡고 출범한다.


이 연구센터에는 무한상상공간, 원격강의실, 화상회의실, 공동실습실 등 연구 인프라를 설치해 대학·기업 등에서 130여 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한 가운데 유기적인 산학협력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최장 8년에 걸쳐 진행될 ‘동남권 Grand ICT연구센터’ 지원사업에는 국비 125억 원과 시비 및 민간 부담금 71억 원 등 총 사업비 196억 원이 투입되며, 과제 수행 총괄책임자로는 정상화 부산대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센터장으로 선정됐다.

‘동남권 Grand ICT연구센터’는 부산대를 주관기관으로 창원대·부경대·동의대·울산대·인제대·포항공대 등 동남권 총 7개 대학이 롯데정보통신·동일고무벨트·부산도시가스·오토닉스 등 27개 ICT 중소·중견기업과 산학공동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센터는 이들 대학과 기업 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IoT(사물인터넷)·빅데이터·클라우드·인공지능·보안 등 K-ICT 10대 기술에 대한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지역 제조업에 ICT 기술 접목을 통해 동남권 제조 IT 기술 혁신 및 ICT 산업 기술의 경쟁력 우위를 견인할 맞춤형 선도 인재를 양성해나갈 계획이다.

센터 내에는 ‘ICT융합학과’를 계약학과(공학석사 학위)로 개설해 중소·중견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내년부터 운영하고 ICT 중소·중견 기업의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기술사업화 컨설팅도 지원할 방침이다.

정상화 센터장은 “센터는 특정 교수진 및 참여연구원만을 위한 센터가 아닌 전임연구원 중심의 독립적인 운영을 통해 유기적인 산학협력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라며 “또 수요자 중심의 연구 계획 및 수행을 통해 전주기적 인력 양성 및 글로벌 창의적 인재 양성 전략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비전을 밝혔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