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특허청, 지식재산(IP) 금융 가치평가기관 민간으로 확대

지식재산(IP) 금융 가치평가기관에 민간기관인 특허법인 다나가 추가로 지정된다.

특허청은 민간의 IP 가치평가 역량을 강화하고 경쟁체제를 통한 가치평가 품질 제고를 위해 민간기관인 특허법인 다나를 28일에 추가로 지정한다고 27일 밝혔다. 민간에서 자율적으로 IP 금융을 지속하도록 하기 위해 지난해 최초로 민간기관 인 특허법인 다래와 윕스를 평가기관으로 지정한 데 이어 올해에 민간기관 1개를 추가로 지정한 것이다.

그동안 IP 가치평가는 한국발명진흥회와 기술보증기금 등 몇몇 공공 평가기관이 수행해 왔다. 하지만 최근 IP 금융이 양적·질적으로 확산되고 대출·투자 등 용도별 평가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요구되면서 평가기관 역시 민간 중심으로 확대돼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IP 금융 가치평가기관은 IP의 가치금액을 전문적으로 산정하는 기관으로 평가결과는 은행에서 IP를 담보로 설정해 대출을 시행하거나 투자기관에서 투자규모 등을 결정하는데 활용된다. 뿐만 아니라 IP 가치평가 결과는 IP거래, IP현물출자, IP를 활용한 사업 타당성 분석 등 사업화 과정에 유용하다.

관련기사



특허법인 다나는 지난 2001년 설립된 이후 특허출원·심판·소송 이외에도 특허가치평가·거래·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랜 기간 활약해온 법인으로 이번 심의회에서도 평가인력의 전문성과 기관의 평가수행 역량이 충분하다는 평을 받아 평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

특허청은 이번 민간 평가기관 추가지정으로 IP금융 활성화에 따른 IP 가치평가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김태만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IP금융 확산을 위해 IP 가치평가의 품질과 신뢰성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므로 앞으로도 IP 가치평가기관을 민간 기관과 금융 기관을 중심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며 “IP 금융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정착된다면 우수한 IP를 보유한 초기단계의 중소기업이 자금조달을 유치해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