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CSR 실천 中企에 융자한도 우대 등 혜택 준다

중기청 사회적책임경영 육성안

근로자 성과 공유·보상 확대


앞으로 사회적 책임(CSR) 경영에 나서는 중소 기업은 정부의 융자 한도 우대와 보증료율 감면, 공공조달 우대 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이는 가습기 살균제 등의 사건으로 CRS 경영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정부가 직접 나서 중소기업의 CSR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중소기업청은 27일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중소기업들의 CRS 경영 활동 유도를 위해 3대 전략 6대 추진과제를 골자로 한 ‘사회적 책임경영 중소기업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중기청은 특히 근로자에 대한 성과 공유와 보상 등을 확대하는 것을 중소기업의 CSR 실천 핵심 과제로 꼽고 지난 25일 발표한 ‘중소·중견기업 인력정책 혁신전략’과 연계해 근로자의 처우 개선을 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중소기업청의 한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그동안 산발적으로 운영되던 중소기업 CRS 프로그램에 전략적 시각을 부여하는 것”이라며 “중소기업이 CRS 실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중소기업이 확산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부적으로는 우선 중소기업에 CSR 인식 고취를 위한 캠페인 등을 통해 인식 전환을 유도하고 체계적인 CSR 경영 추진 계획 수립을 위한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CSR 경영을 위한 전문인력 육성을 통해 인프라를 조성, 중소기업 CSR 경영의 기틀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CSR 경영에 나선 중소기업에 ‘CSR 실천 기업’ 제도를 신설해 이들 기업에 ‘융자 한도 우대’와 ‘보증료율 감면’ 등 다양한 우대사항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공공조달 부문에서 CSR 우수 중소기업을 우대한다는 계획이다. 중기청의 또 다른 관계자는 “CSR의 개념이 주주와 근로자, 소비자, 협력사, 지역사회, 환경 등 6개 분야로 확대되고 있어 중소기업의 참여 분야도 다양할 것”이라며 “근로자를 위한 근로조건 개선, 일과 가정 양립 정책 등도 CSR 경영활동으로 포함되는 만큼 작은 실천을 통해서도 CSR 경영에 나설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다국적 기업의 94.2%가 협력업체 선정시 CSR 경영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다”며 “한 중소기업의 경우 외국 기업의 CSR 경영 요구를 받고 실천한 뒤 450억원 규모의 신규 매출을 일으켰다”고 덧붙였다.

김상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