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黃총리 "나라를 시험대상으로 할수없다"

靑 '거국 중립내각' 거부

靑 "특정 정치인 주장·요구에 대답할 이유없어"

이원종·우병우·안종범·김재원·김성우 교체 유력

박근혜 대통령은 여야와 시민사회의 중립내각 구성 요구를 거부하고 자체적인 인사쇄신을 단행해 정국을 이끌어나가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27일 청와대 측이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를 지목한 듯 “왜 특정 정치인의 주장과 요구에 대해 답해야 하느냐”고 한 것은 정국의 주도권을 중립 총리 또는 차기 주자군에 넘기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읽힌다.


황교안 국무총리도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우리나라를 시험대상으로 되게 할 수는 없지 않겠느냐”며 중립개각에 대해 강력한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현재 청와대 안팎에서 도는 시나리오는 박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 주 초 청와대 참모진을 먼저 교체한 뒤 이후 내각 개편에 나선다는 것이다.

청와대 참모진 중에서는 교체 대상의 대체적인 윤곽이 나오고 있다. 먼저 이원종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번 비선 사건과 큰 관련이 없지만 ‘책임’이라는 상징성 면에서 사퇴할 수밖에 없다. 국정감사장에서 비선의 대통령 원고 수정을 “봉건시대에나 가능한 일”이라고 한 것도 결과적으로 많은 국민들에게 상처를 줬다.


우병우 수석도 교체될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하다. 이번에도 우병우 수석을 유임시킬 경우 최순실 사건에 대한 검찰수사를 ‘관리’하겠다는 뜻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안종범 정책조정수석 역시 교체 가능성이 크다. 미르재단·K스포츠재단의 기금 모집과 관련해 대기업의 팔을 비튼 장본인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안종범 수석은 잇따른 의혹을 부인하고 있지만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사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게 중론이다.

김재원 정무수석도 교체가 유력하다. 박 대통령의 지난 24일 개헌 제안이 최순실 게이트와 무관한 순수한 것이라고 치더라도 제안 시기를 잘못 고르는 중대 미스를 저질렀다. 그러나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이런 위기 상황에 친박의 브레인을 내보내기 어려울 수 있다. 개헌 카드 역시 완전히 죽은 게 아니어서 역할이 남았을 수 있다”며 유임론을 제기했다.

이밖에 김성우 홍보수석도 교체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국민 소통 부족의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무를 연속적으로 이어가야 하는 외교안보·경제·미래전략·교육문화·고용복지·인사수석은 유임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박 대통령은 내각 개편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이지만 후임 총리 물색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중립내각을 거부한 이상 현 정권의 인사풀 내에서 총리를 발탁해야 하는데 난파선과 같은 현 정부에서 총리를 맡을 사람은 원로급밖에 없다. 정치적 장래를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쉽게 수락하기 어렵다.

이 같은 사정에 따라 박 대통령이 결국은 거국개각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자체 쇄신이든 거국내각 구성이든 신속하게 단행되지 않을 경우 국가 리더십 공백에 따른 국정 혼란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맹준호·임세원기자 next@sedaily.com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