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불친절한 외국인 전용 온라인몰, 온통 한글뿐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외국어 쇼핑플랫폼 점검 결과

영문 사이트 58% 중문 사이트 40% 한글표기,

제품 정보부족으로 소비자불만 많아

한류 열풍으로 한국 온라인 쇼핑몰을 방문해 제품을 구매하는 외국인이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정확한 외국어 정보 제공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사이트를 표방하지만 영문·중문 등으로 제품에 대한 설명이 충분히 되지 않아 원하는 제품을 구매하지 못해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는 해외 소비자를 위해 외국어로 쇼핑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4개 업체 글로벌사이트의 100개 상품을 점검한 결과 영문사이트의 경우 총 52개 상품 중 58%에 해당하는 30개의 상품이, 중문사이트의 경우 총 48개 상품 중 40%에 해당하는 19개의 상품의 사이즈 등 옵션 선택 부문이 모두 한글로만 표시돼 있었다고 27일 밝혔다.

일례로 미국인 A씨는 영문 버전의 국내 오픈마켓 사이트에서 Air-Conditioner를 검색, 제품을 구매했는데 알고 보니 이것은 에어컨이 아닌 냉풍기였다. 구입처에서는 제품에 하자가 없다는 이유로 반품조차 해 주지 않았다.






해외에서 인기 있는 한국 화장품 판매도 피부 타입 등을 선택하는 옵션(자유선택 사항)이 모두 한글로 표기돼 있어 외국인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오인하는 사례가 종종 빚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낚시성 상술도 문제가 됐다. 가장 인기 있는 제품 사진을 노출 시키고 가격은 다른 최저가 상품의 가격을 제시해, 실제 구매할 경우 가격이 추가돼 피해를 입는 경우이다.

천명철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국내 사이트에서 제품을 구매한 외국인 소비자의 경우 판매자에게 제품문의, 교환, 반품 등을 요청할 경우 언어문제로 국내 소비자들처럼 적극적인 의사표현 및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만큼 해당 언어로 정확한 상품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사업자 및 사이트 관리자에게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선택 옵션을 한글로만 표기한 사례. /사진제공=서울시선택 옵션을 한글로만 표기한 사례. /사진제공=서울시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