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SK하이닉스, 총 2,000억원 규모 ‘반도체희망펀드’ 조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미래 신성장 산업의 기반이 될 중소 반도체 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총 2,000억원 규모의 ‘반도체희망펀드’를 조성한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27일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털 호텔에서 열린 ‘제9회 반도체의 날’ 기념행사에서 총 2,000억원 규모의 ‘반도체희망펀드’ 조성을 위한 협약식을 개최했다. 협약식에는 전영현 삼성전자 사장, 박성욱 SK하이닉스 대표(한국반도체산업협회장), 이동춘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대표, 조승현 KDB산업은행 부행장이 참석했다.


삼성전자가 500억원, SK하이닉스가 250억원을 출자하여 모펀드를 설정하고 정책금융 및 벤처캐피탈(VC) 등 민간자금을 더해 총 2,000억 원 규모의 ‘반도체희망펀드’ 기금를 조성하게 된다. 반도체희망펀드는 국내 반도체 중소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반도체 대·중소기업이 균형적으로 성장, 한국 반도체 산업이 세계 1위로 성장하는 기틀 마련이 목적이다. 국내 반도체 중소 · 신생 업체의 창업 지원, 사업 다각화, 반도체 기업 간 인수합병(M&A) 등 반도체 산업 생태계의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투자 생태계가 열악한 반도체 스타트업 지원에 팔을 걷는다. 반도체 산업의 ‘씨앗’이 될 스타트업을 길러내 대형 반도체 · ICT기업으로의 M&A나 기술 이전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기술 개발과 혁신의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관련기사



반도체 산업 관계자 450여명이 참석한 이날 기념식에서 박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한계에 다다른 미세화 공정, 계속되는 반도체 업계 간 M&A, 첨예한 글로벌 경쟁의 가속화 등 반도체 업계는 연일 계속되는 위기와 변화에 맞서고 있다”며 “사물인터넷(IoT)·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커넥티드홈 등 다채로운 미래 신산업의 등장은 위기가 아니라 기회”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대한민국만의 위기 극복 DNA로 메모리 반도체 절대 지존의 고지를 지켜내고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연구개발(R&D)을 강화하며 기업·대학·정부 간 협력을 견고히 해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자”고 역설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반도체 산업에 기여한 반도체인에 대한 시상도 이어졌다. 세계 최초로 10나노급 D램 및 로직 공정을 개발해 국내 반도체 산업이 메모리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정은승 삼성전자 부사장이 은탑산업훈장을 받았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