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가을배추·무 재배면적 10년래 최소... 김장철 앞두고 가격상승 우려

김장용으로 쓰이는 가을배추와 무의 올해 재배면적이 최근 10년래 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가을배추·무 재배면적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1만1,429헥타르(ha)로 전년 대비 10.2%(1,295ha)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06년 이후 최소치였던 1만2,178ha(2007년)보다도 1,000헥타르 이상 적은 수치다.

가을무 재배면적도 전년 대비 6.2% 줄어든 5,414ha로 집계됐다. 역시 최근 10년래 최소치였던 5,498ha(2014년)보다 적은 수준이다.


통계청은 여름철 고온 및 가뭄 등의 영향으로 농가들이 정식과 파종에 애를 먹으면서 재배면적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문제는 재배면적 감소는 곧 생산량 감소와 상품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가을배추 1kg의 11∼12월 평균 도매가격은 2014년 401원에서 지난해 440원으로 9.7% 오른데 이어 올해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가을무 1kg의 11∼12월 평균 도매가격은 2014년 471원에서 지난해 453원으로 3.8% 하락했지만 올해는 가격상승의 우려가 크다

시도별로 보면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전남, 경북, 전북, 경기 등의 순으로 이들 4개 시도가 전체의 61.6%를 차지했다.

가을무는 전북, 충남, 전남, 경기 순으로 전국 가을무 재배면적의 74.3%였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