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생산·소비·투자 급락...추락하는 한국 경제

8개월만에 3대지표 모두 하락

실물경제의 3대 축인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급락했다. 경기는 갈수록 꺼지고 국정은 ‘최순실 게이트’로 마비되면서 추락하는 한국 경제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전산업 생산·소매판매·설비투자 증감률(전월 대비)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3대 지표가 모두 뒷걸음질친 것은 지난 1월 이후 8개월 만에 처음이다. 소비가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소매판매 증감률은 4.5% 뒷걸음질쳐 2011년 2월(-5.5%) 이후 5년7개월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이 9월 2일 판매 중단되며 휴대폰 관련 소비가 줄었고 7~8월 불티나게 팔린 에어컨 등 가전제품 판매가 9월 들어 급감하면서 내구재 판매가 6.1% 감소했다. 경기부진에 옷을 사는 사람도 줄어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0.6% 뒷걸음질쳤고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도 5.1% 쪼그라들었다.


전산업 생산은 0.8% 줄어 1월(-1.4%) 이후 8개월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세부적으로는 광공업 생산의 경우 중국산 스마트폰 공급용 반도체 생산 등이 늘어 소폭(0.3%) 증가했지만 한진해운 사태로 서비스업 생산이 0.6% 감소하며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다. 서비스업 생산 중 운수업이 3.1% 줄었는데 이 중 한진해운 사태로 수상화물 운송이 차질을 빚으면서 수상운송업이 20.3%나 급감했다.

관련기사



경기 불확실성이 증폭되며 기업들의 투자는 더욱 움츠러들고 있다. 9월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2.1% 감소했다. 7월 11.9% 급감했지만 8월 13.4%로 급반등하는가 싶더니 한 달 만에 다시 뒷걸음질쳤다. 조선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운송장비 투자가 0.9% 줄었고 기계류도 2.6% 감소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