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순실 게이트] 강제모금·특혜사업 개입 논란 불똥에 대기업들 촉각

비덱스포츠에 35억 전달한 삼성

檢수사 방침에 "적극협조" 밝혀

차은택 주도 사업 참여한 CJ

"그룹사업과 맞는다 판단 참여"



박근혜 정권의 비선실세 의혹을 받고 있는 최순실(60·최서원으로 개명)씨가 미르·K스포츠재단에 대한 강제모금과 각종 특혜사업에 개입했다는 논란의 불똥이 재계로 튀면서 주요 대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검찰이 최순실 게이트의 주요 수사 줄기로 기업을 주목하면서 기업들이 전형적인 정경유착이라는 도덕적 비판과 함께 법적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 의혹의 핵심은 삼성이다. 삼성은 최씨가 독일에 세운 비덱스포츠 측에 280만유로(약 35억원)를 송금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돈은 정유라씨의 승마용 말 구입비 등으로 쓰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삼성에 대해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K스포츠재단 등을 거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최씨 측에 돈을 건넨 곳은 삼성뿐”이라고 설명했다.

정씨가 독일 현지에서 “난 삼성팀 소속”이라고 이야기한 정황이 전해지는 것은 물론 “대한승마협회 로드맵에는 정씨 훈련을 지원하기 위한 삼성과 마사회의 구체적인 역할분담 방안도 들어 있다”는 마사회 내부 인사의 증언도 나온 상태다. 현재 대한승마협회장은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이다.


한화 역시 부담스럽다. 한화는 지난 2012년 5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승마협회 회장사를 지냈다. GS 역시 검찰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원사들이 774억원을 갹출한 과정을 파고들면서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현재 기업들의 재단기금 지원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지시를 받아 이승철 전경련 부회장이 기업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전경련 회장에게 보고됐는지가 관건이 될 수 있다.

CJ그룹에도 의혹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CJ그룹은 2월 경기도에 1조4,000억원을 들여 한류 테마파크 ‘K컬처밸리’를 조성하는 내용의 투자의향서(LOI)를 냈다. 이는 최씨의 측근으로 알려진 차은택씨가 주도한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의 일환이다. 특히 이때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1,600억원대의 횡령·배임 혐의로 재판을 받던 시기와 겹친다. 일각에서 CJ그룹이 이 회장을 구명하기 위해 정권 비선실세의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밖에 포스코는 2월 K스포츠재단의 자회사 격인 더블루케이 측으로부터 배드민턴팀 창단을 요구받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SK는 K스포츠 측으로부터 비인기 종목 지원을 위해 80억원을 내달라는 요청을 거절했다가 3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역제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롯데그룹은 미르·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추가 지원했다가 돌려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시기는 롯데그룹의 검찰 수사 직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름이 거론되는 주요 대기업들은 해명에 진땀을 흘리고 있다. 삼성은 최씨가 독일에 세운 회사에 거액을 지원했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 수사를 통해 밝혀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포스코의 경우 “더블루케이가 2~3월께 포스코 사장을 찾아와 배드민턴팀 창단을 요구해왔고 이를 거절했다”고 해명했다. CJ그룹 측은 “2014년 12월 문화체육관광부와 미팅을 하면서 한국 대표 콘텐츠기업인 CJ그룹 사업과 잘 맞는다고 판단해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고 해명하고 있다. /성행경·김흥록기자 saint@sedaily.com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