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T·LGU+ 'IoT 동맹'

'협대역' 기술개발 손잡아…'로라' 채택 SKT와 국제표준 맞대결

김준근(왼쪽) KT 기가 IoT 사업단장과 안성준 LG유플러스 IoT 사업부문장이 양사가 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 사옥에서 개최한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협대역(NB)-IoT’ 분야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사진제공=KT·LG유플러스김준근(왼쪽) KT 기가 IoT 사업단장과 안성준 LG유플러스 IoT 사업부문장이 양사가 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 사옥에서 개최한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협대역(NB)-IoT’ 분야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사진제공=KT·LG유플러스




KT와 LG유플러스가 사물인터넷(IoT) 선점을 위해 손을 잡았다. 통신 시장 경쟁자인 양사가 사업 협력에 나선 것은 이례적으로, IoT 시장을 놓고 SK텔레콤과 치열한 진영 싸움을 벌일 전망이다.


양사는 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 사옥에서 공동으로 간담회를 열고 IoT 국제 표준 중 하나인 ‘협대역(Narrow Band·NB) IoT’ 기술을 함께 개발해 내년 1·4분기에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중 하나인 NB-IoT는 기존 4세대(LTE) 망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LTE망의 좁은 대역(200㎑)을 이용해 최대 초당 150kb(kbps)의 데이터를 멀게는 15㎞까지 보낼 수 있다. 안정성이 높아 가스·수도·전기 검침, 위치 추적용 기기 등 멀리 떨어진 사물 간의 통신에 적합하다.


KT와 LG유플러스는 NB-IoT 통신망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공동으로 기술 표준화를 추진하고, 내년 전국망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칩세트·모듈·단말 등 핵심부품의 공동구매를 검토하고, 글로벌 진출과 국내·외 다른 기업과의 협력도 공동으로 모색한다.

관련기사





이번 사업 협력은 양사가 또 다른 저전력 통신 기술이자 IoT 국제 표준 중 하나인 ‘로라(LoRa)’를 채택하고 있는 SK텔레콤과 전면전을 선포했다는 의미도 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출범해 400여 개의 글로벌 기업을 회원으로 두고 있는 로라 연합체의 일원으로, 지난 6월 이통3사로는 최초로 로라 전국망을 구축했다. 국내 IoT 시장이 KT·LG유플러스와 SK텔레콤 두 진영으로 나뉜 것이다.

로라는 와이파이처럼 사용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비면허 대역 주파수를 활용, 기존 LTE와 와이파이를 통합할 수 있는 것 강점이다. 최근 거의 대부분의 가정이나 상점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IoT 확장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쓰이는 칩셋의 가격도 5,000원 안팎으로 저렴하다. 단 속도의 하향 평준화와 주파수 간섭, 지하 저층에 도달하려면 추가 중계기가 필수적인 것 등은 개선이 필요한 점이다.

이에 비해 NB-IoT는 LTE 기반이어서 추가 중계기가 필요 없고, 신호 역시 안정적이라는 것이 KT와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김준근 KT 기가 IoT 사업단장은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3GPP)가 NB-IoT를 표준으로 채택한 만큼 기술 신뢰도나 인지도가 훨씬 높다. 보다폰과 KDDI, AT&T, 차이나모바일 등 세계 유수 통신사가 NB-IoT를 채택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안성준 LG유플러스 IoT 사업부문장은 “가스검침이나 보안, 교통 안전 등 분야뿐 아니라 환경, 물류, 에너지, 나아가 스마트시티까지 실생활과 산업 전반에 걸쳐 NB-IoT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현재 협력 세부 내용을 계속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