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취업자 증가폭 6년만에 최저... ‘경기불황, 조선 실업 대란 탓’

10월 취업자수 1, 265만명, 전년 比 29만2,000명(2.4%) 증가

2010년 9월(27만2,000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 증가폭 기록

10월 조선업 취업자 2만5,000명 급감… 장기근속자 실업 증가

조선업종의 실업대란이 현실화하면서 취업자 증가 폭이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조선에 이어 전자·IT업종도 고용시장에 찬바람이 불어 우려를 키우고 있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0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 수는 1,26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만 2,000명(2.4%)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증가 폭은 2010년 9월(27만 2,000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전체 업종 중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은 증가율이 0.2%에 그쳤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은 6,000명에 그쳐 8월(9,000명), 9월(7,000명)에 이어 석 달 연속 증가 폭이 1만명을 밑돌았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0월(-7,700명) 이후 7년 만에 최저 수준의 취업자 증가 폭이다.


고용 악화를 주도한 것은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치고 있는 조선업이었다.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지난해 말까지 고용이 늘었다. 그러나 선박 수주 급감 등 경기 악화로 올해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더구나 6월 1만2,000명이었던 작년 동기 대비 취업자 감소 폭은 8월 2만2,000명, 9월 2만4,000명, 10월 2만5,000명으로 3·4분기 이후 크게 늘어 ‘실업대란’이 현실화하고 있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지난해 말 고용규모는 21만명에 달했으나, 올해 9월에는 18만3,000명까지 줄어 고용규모가 10% 이상 급감했다.

관련기사



제조업 고용의 14.5%를 차지해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도 10월 취업자 수가 1만 5,000명이나 감소했다. 2013년 9월 고용규모가 5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줄어 올해 9월 고용규모는 51만 8,000명에 그쳤다.

이는 중국과의 가격 경쟁을 견디다 못해 국내 전자업체들이 휴대전화, 액정표시장치(LCD) 등의 생산기지를 해외로 속속 이전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매출이 늘어난데다, 한류 영향으로 수출도 호조를 보이는 식료품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만2,000명 늘어 25만4,000명에 달했다.

중국 내에서 한국 제품이 큰 인기를 끌면서 수출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화장품이 포함된 화학제품제조업도 취업자 수가 1만명 늘었다. 고용규모는 22만 9,000명이다.

해운업 불황으로 수상운송업 취업자는 2013년 초부터 지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저가항공 활성화 등으로 항공운송업 취업자는 증가폭이 커지는 모습이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