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임단협 장기화...파업 피로감 커지는 현대重

노조 지도부 폭력사태 벌어져

회사는 유동성 악화로 고심

정부 제재 직면 등 부작용 속출

현대중공업의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이 장기화하면서 파업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 회사는 유동성 악화와 함께 정부의 제재를 고민하기 시작했고 노조 지도부 내부에서는 폭력사태까지 발생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7일 현대중공업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열린 현대중공업 노조의 쟁의대책위원회 회의가 끝난 직후 집행부 간부가 지단장(부문별 대의원 대표)을 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회의 전부터 서로 욕설을 주고받다 간신히 회의를 마친 뒤 화해하는 자리에서 멱살잡이가 발생했고, 다툼을 말리던 과정에서 이 간부가 들고 있던 물건을 지단장의 안면에 던졌다. 폭력행위가 발생하자 일부 현장조직은 내부 소식지를 통해 당사자의 현장 복귀와 함께 징계위 회부를 요구하는 등 사태가 확산하고 있다. 조합원들도 사건발생 후 노조 홈페이지 등을 통해 임명직(집행부 간부)이 선출직(지단장)에게 폭행을 행사한 점을 지적하며 비난하는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관련기사



비난의 목소리는 3년 연속 파업을 주도해 온 강성 집행부에 대한 신뢰문제로도 번지고 있다. 지난 5월 10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52차례 교섭했으나 아무런 성과가 없었으며, 7월 이후 크고 작은 파업이 반복되면서 일상화된 파업에 따른 피로감으로 내부 분열이 일고 있



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회사도 교섭 장기화로 고민이 깊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5월 주채권 은행인 KEB하나은행에 인력 감축과 비핵심 자산 매각, 사업 조정 등으로 3조5,000억원을 마련한다는 자구안을 냈다. 하지만 회사는 “고통분담을 외면하는 노조의 반발에 부딪혀 자구노력의 빛이 바랬다”며 “회사가 약속을 지키지 못해 주채권은행이 자금을 지원하지 않으면 유동성이 더 악화해 급여 지급을 걱정할 상황이 올 수 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여기에 정부가 지난달 31일 조선 3사의 직영 인력 규모를 32% 감축하고, 도크 수도 23%가량 줄이는 ‘조선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조선업계의 자구노력이 미흡하면 정부가 직접 고강도 구조조정을 진행하겠다는 의미라고 회사는 풀이했다. 회사는 이에 따라 유휴 도크 가동 중단과 사업 분리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수주절벽과 후판 가격 인상, 주력 선종 선가 하락 등 삼중고(三重苦)로 유동성 관리에 적신호가 켜지면서 회사는 희망퇴직자에게 주던 위로금을 최대 40개월치에서 내년부터는 20개월치 이하로 축소키로 하는 등 허리띠를 더 졸라매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1년 안에 갚아야 할 빚이 2조8,000억원에 이른다. 퇴직예정자들도 초조해지고 있다. 올해 임단협이 연내 타결을 이루지 못하고 해를 넘길 경우 644명의 정년퇴직자들은 올해 임금 인상분의 소급 적용을 받지 못해 임금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