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故 백남기 농민, 광주 민족민주열사 묘역에 묻히다

고 백남기(69) 농민이 지난 6일 오후 광주 망월동 민족민주열사 묘역에 묻혔다.

백씨의 딸 백민주화씨는 “아버지가 경찰의 물대포에 맞고 쓰러져 단 한 번도 의식을 되찾지 못한 지난 317일 동안과 그 이후에서 마음껏 슬퍼한 적이 없다”며 “그런 저희 가족 곁에 함께 해주신 많은 국민 덕분에 그 시간을 다 이겨냈다”고 밝혔다.


백남기 농민은 지난해 11월 집회에 참가했다가 경찰의 물대포에 맞은 뒤 사망했다.

이날 유족들과 장례위원회는 보성장례식장에 안치된 고인의 시신을 전남 보성군 웅치면 생가로 운구해 이날 오전 8시 30분 제사를 모셨다.

9시 30분부터는 보성역 광장에서 노제가 진행됐다.

백남기 전남 투쟁본부 주관으로 열린 노제에는 고인의 지인과 시민사회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해 추모사 낭독, 헌화·분향, 추모 살풀이공연 등이 진행됐다.

고인의 시신은 보성역부터 군청까지 운구된 뒤 광주로 옮겨졌다.

정오부터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5000여명 이상의 시민들 참여 속에 노제가 진행됐다.


평생을 민주화운동과 농민운동에 헌신한 약력 소개를 시작으로 각계각층의 조사가 이어졌다.

관련기사



특히 히다얏 그린필드 국제식품연맹(IUF) 아태지역위원회 사무총장도 조사를 통해 “백남기 농민의 사건을 전 세계에 알리겠다”고 알렸다.

노제를 마친 뒤 금남로에서 대인시장, 광주고 앞, 말바우시장까지 3km가량을 행진한 운구 행렬은 화장의식을 마치고 한 줌 재로 변한 백씨의 유골함을 앞세우고 광주 북구 망월동 5·18 구묘역에 당도했다.

천주교식 장례로 1시간여간 열린 하관식은 무덤축복, 영구안장, 헌화, 청원기도, 흙 덮음 순으로 이루어졌다.

백 농민과 광주고 동급생이었던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은 이 자리에서 “이제 모두 내려놓고 땅을 자식처럼 사랑하던 그 모습으로 돌아가 편히 쉬길 바란다”고 밝혔다.

가족들은 고인의 무덤에 흙을 덮고 꽃을 바치며 눈물로 마지막 길을 모셨다.

고인의 장례는 사망 41일만인 지난 5일 서울에서 민주사회장(葬)으로 진행됐다.

백씨는 지난해 11월 14일 서울에서 열린 1차 민중총궐기 집회에 참가했다가 경찰 차벽 앞에서 경찰 물대포에 맞아 쓰러진 뒤 병원으로

머리를 심하게 다친 그는 한 번도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다 지난 9월 25일 숨을 거뒀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